결과-19 차동증폭기 18 푸쉬풀 증폭기
- 최초 등록일
- 2018.04.17
- 최종 저작일
- 2016.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실험 19 차동증폭기
1) 실험 결과
2) 실험 결과 논의
3) 토의
2. 실험 20 푸쉬풀 증폭기
1) 실험 결과
2) 실험 결과 논의
3) 토의
본문내용
실험 19 차동증폭기
2. 실험 결과 논의
1. [표 2]의 측정결과가 Iee=Ic1+Ic2의 수식과 일치하는가?
거의 일치하였다.
2. [표 2]의 측정결과가 차동증폭기의 입력전화 변화가 값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표 2]에서의 결과 값을 보면, 맨 처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듯 했다. -2.0V부터 측정하기 시작해서
1.2V까지 전압을 변경하며 측정했다. -2.0부터 -0.2V까지는 전혀 영향이 없는 듯 보였다. 하지만 -0.1V 부터 0.2V까지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실험 진행은 원래 -2.0~2.0V까지 하는 것이었으나, 실험에 사용된 소자로 인한 문제인지 1.2V까지 밖에 변하지 않았다.
< 중 략 >
실험 20 푸쉬풀 증폭기
2. 실험 결과 논의
1. B급 증폭기의 A마디와 B마디에서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은 몇 V인가? 만약 -Vcc 대신 +Vcc에 20V를 인가하면 A,B에서의 전압은 몇 V여야 하는가?
2v이다. 20V를 인가할 경우 4V가 될 것이다.
2. 교차왜곡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고 입력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가며 교차왜곡을 관찰했을 때 언제 더 문제가 되었는가?
A급 증폭기에서 교차왜곡이 발생하는 이유는 데드영역이 발생하기 떄문이다. 데드영역은 -0.6 < V1 < 0.6 에서 턴온 되지 않는 것이다. 입력신호는 4V로만 실험하였다.
3. AB급 증폭기에서 교차왜곡이 사라진 이유를 다이오드1,2의 역할과 관련시켜서 설명하시오.
다이오드를 이용한 AB급 증폭기의 바이어스를 보여주고 있다. 두 개의 다이오드의 턴온 전압이 트랜지스터 Qn과 Qp의 입력 바이어스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바이어스전압 VBB를 대체할 수 있다.
4. C마디 D마디에서의 파형은 입력파형과 비교할 때 어떠한가? 비슷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