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박리
- 최초 등록일
- 2018.04.15
- 최종 저작일
- 2018.04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did****
10회 판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
Ⅲ. 간호과정
1.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3.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고령화시대에서 초고령화시대로 넘어간 만큼 많은 노인분들이 계셨고, 특히 그 중에서 절반은 지병으로 고혈압을 가지고 계셨다.
대동맥박리는 고혈압이 주된 원인이며, 매우 심한 흉통을 가지고 많은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이 약한 노인분들에게는 매우 위급한 상황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예후는 일반적으로 좋은 편이어서 10년간 생존률은 약 60%에 다다른다. 병원에 노인층이 늘어나고 있고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많은 환자들을 보고 대동맥박리는 언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병이라고 생각했다.
또 치료가 잘되면 예후가 좋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연구해보고 싶어서 ‘대동맥박리’를 케이스 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2. 연구 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가. 내과적 응급상황.(대동맥질환의 대표적인 경우)
나. 대동맥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내막이 찢어져 대동맥의 혈류가 본래 정상적으로 있던 진강 외에 또 다른 공간인 가강이 만들어져 대동맥을 단층으로 잘랐을 때 두 개의 구멍이 있는 모습을 함.
다. Marfan증후군 환자의 이환률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
라. 발생하면 조기 사망률이 한 시간당 1%씩 증가함.
2. 원인 및 위험소인
가. Marfan증후군 , 엘러스 - 단로스증후군과 같은 결체조직 질환.
나. 고혈압
다. 노령화
라. 60~70대, 남성(2배)>여성
마. 대동맥판엽이 두 개인 경우
바. 대동맥염
사. 대동맥판막대치술과 같은 심장수술 후
아. 임신
자. 흉부외상
* Marfan증후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선천성 질환의 일종으로 근골격계, 심혈관계 및 눈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유전병.
* 엘러스 - 단로스증후군
피부와 관절의 결합조직에 이상이 발생하는 선천성 질병. 질병 환자의 피부는 탄력이 없기 때문에 축 늘어지고, 세포조직이 손상 받을 위험성이 높아서 타박상이 잘 생김.
3. 병태 생리
가. 호발부위
1) 정수압의 shear stress가 가장 높은 상행대동맥의 오른쪽 외측벽을 따라서 주로 원주상으로 intima가 찢어지면서 일어남.
참고 자료
정운찬(1994). 간호진단과 계획(초판). 서울시 : 서울대학교 출판부.103~202p
이영우(2001). 순환기학(초판). 서울시 : 일조각. 320~325p
최경락(2016). 쉽게 풀어 쓴 심장학. 서울시 : 예당북s, 106~138p, 551~557p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조선대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