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 log format/ 영어수업에 관해/ 항목별/ method에 따른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8.03.24
- 최종 저작일
- 2016.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How do I think/feel about this method? What do you like and dislike about this method?
요즘과 같이 경쟁이 과열되는 교실상황에서 학생의 감정을 고려(극대화)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경쟁하는 것은 불편을 야기하기에 협력이 그 방안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학생의 stress를 낮추고 협력을 통해 수업을 구성하는 CLL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습자의 stress를 낮추기 위해 교사의 상담적인 기술을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주입식 교육을 막을 수 있다. 물론 주입식 교육이라고 다 나쁜 것은 아니고 필요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 간 신뢰관계가 형성된다면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 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CLL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수정, 보완한다면 극복할 수 있다.
What did I learn? How or in what way will this method help me teach in the future?
가장 학생의 감정을 극대화 시켜 방법에 적용해 학생이 restate하는 것이 핵심이다. 교사는 bilingual 언어자여야 한다. 활동을 짤 때는 교사와 학생이 interaction해 학생이 하고자 하는 것을 수업 내용으로 구성해 직접 한다. 모국어와 영어를 같이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법, 속담 등을 가르칠 때 사용하면 타당하다. 특히 문법은 모국어가 가장 필요한 영역이다. 난해하고 복잡한 것을 영어로 가르치면 학습자, 교사 모두 지칠 수 있고 실용성도 떨어진다. 영어로 가르쳐도 그 핵심은 모국어로 가르치는 것이 꼭 필요한 부분이다.
What will I do differently next time or in a similar situation? How will I do it differently next time? (mini-presentation)
문법을 가르칠 때 모국어로 학생과 교사가 interaction해 어떤 부분을 못하고 잘하는지 판별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