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주제선정의 배경
2.오리엔탈리즘이란 무엇인가
Ⅱ. 본론
1.오리엔탈리즘의 형성과정
2.에드워드 사이드와 오리엔탈리즘
ㄱ.제국주의와 식민주의
ㄴ.사이드식 오리엔탈리즘이 갖는 한계
3.서구에서 바라본 동양의 모습
ㄱ.서구의 문학, 음악, 영화, 회화와 그 안에 담겨진 동양의 모습
1)시누아즈리(chinoiserie:중국취미)
2)튀르크리(turquerie:터키취미)
3)헐리우드와 동양
4.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
Ⅲ. 결론
1.현대사회에서의 오리엔탈리즘의 올바른 방향
ㄱ.포스트오리엔탈리즘(부제)
ㄴ.세속적 오리엔탈리즘에서 구도적 오리엔탈리즘으로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는 글
현대사회는 그 이전시기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한 인간관계를 그 특징으로 갖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번쯤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 사람과 사물들, 모든 종류의 관계와 집단, 그리고 문화전반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들여다보면 우리주변의 모든 것에는-그것이 물질적인 것이든 추상적인 것이든 간에-어떤 일정한 패러다임이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보통 그것은 합리적, 과학적이라는 말로서 수식되며, 사실 근대 이후 아시아, 아프리카 제 3세계를 비롯한 대다수 현대인들의 사고 체계는 필연적으로 서양의 영향을 크게 받아올 수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우리는 서양의 관점을 이해하는 일에서 자유로울 수만은 없을 것이고 그 일면인 서양의 동양에 대한 시각, 즉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이해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결국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논의는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어쩌면 조금 더 피부에 와 닿게는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한국사회가 외국인 노동자나 북한 새터민을 대하는 방식에서도 오리엔탈리즘이 작동하는 방식이 드러나기도 한다.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여 진행하고자 한다면 우선 기본적으로 ‘오리엔탈리즘’이란 정확히 무엇을 말하며 어느 범위까지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오리엔탈리즘은 오리엔트(orient)에서 유래되었다. 오리엔트란 라틴어로 ‘해돋이’, ‘해가 뜨는 방향’인 오리엔스(oriens)에 해당되는 단어로서 이 단어가 발전해 동방, 동양이 된 것이다. 오리엔탈리즘은 19세기 중엽부터 동양을 연구하는 학문, 곧 ‘동양학’이란 뜻으로 쓰였는데 ‘서양이 동양에 반응하는 방식’이라든가 ‘서양인들이 동양 문화에 대한 태도·관념·이미지’, ‘서양인이 동양에 대해 만들어내는 담론’이라는 뜻도 담고 있다. 이후에는 서양인들이 동양을 바라볼 때 모든 종류의 선입견과 편견을 가지고 본다는 뜻으로 치우쳐 졌다.
참고 자료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7, p.2~3, p.58, p.65~97, p.264~292, p.349
고부응 외 10명,『에드워드사이드 다시읽기』, 책세상, 2006, p.51~58, p.70~71, p.127~128, p.137, p.140~142
로버트 J.C.영,『백색신화』,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8, p.313, p.315,316, p.329~332, p.351, p.355
존 맥클라우드,『탈 식민주의 길잡이』, 한울, 2003, p.68~69, p.74~75
코디 최, 『20세기 문화 지형도』, 안그라픽스, 2006, p.184~187
정진농, ‘오리엔탈리즘의 두 얼굴: 세속적 오리엔탈리즘과 구도적 오리엔탈리즘’,『동서비교문학저널』, 창간호 233-251, 1998
권성하, ‘포스트모던시대의 오리엔탈리즘 -포스트모더니즘(Ⅱ)’, <대전일보> 2009-10-13 13면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