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 교수요목설계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여성결혼이민자)
- 최초 등록일
- 2018.02.26
- 최종 저작일
- 2018.0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
2.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교육
3. 문화수업 구성 시 고려할 점
4. 결론
본문내용
1.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
진정한 문화 교육의 목표는 언어의 실용적 차원 외에도 이념적 차원, 예술적 차원에서의 인식을 바탕으로 설정되어야 할 적으로 본다. 곧 외국인 학습자와의 목표 언어 사용자 사이의 정신적인 이해와 공감, 예술을 바탕으로 하는 두 민족 문화 사이의 친밀한 교감이 궁극적인 외국인 문화 교육의 목표일 것이다(우인혜. 라혜민-2001)
최근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그러므로 문화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얻을 수 잇을 것이다. 이는 학습자들의 문화 정보 오해를 줄이고 고정관념 혹은 편견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보다 체계적인 문화 교육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두 가지 견해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교육에 그 범위를 한정한 논의 와 다른 하나는 이와 달리 보다 폭 넓게 언어 교육에 모든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여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영란(2006)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고ML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정책⌟.⌜아시아 여성연구⌟. 제 45집 1호, 143-189
김영만(2009) ⌜하이브리드적 사고와 한국 문화 교육방향⌟, ⌜겨레어문학⌟, 제 42집,27-45
이미영(2010)⌜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정미(2017), ⌜외국인을 위한 문화교육론⌟, 진흥원격연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