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 질병 10가지 정리(식도폐쇄, 뇌막염, 장중첩증, 담관폐쇄, 유뇨증, 류마티스열, 가와사키병, 구순&구개열, 유문협착증)
- 최초 등록일
- 2018.02.06
- 최종 저작일
- 2017.08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atresia(esophageal atresia) 식도폐쇄
2. meningitis 뇌막염
3. intussusception 장중첩증
4. biliary atresia 담관폐쇄
5. enuresis 유뇨증
6. rheumatic fever 류머티스열
7. kawasaki disease 가와사키병
8. creft lip& creft palate 구순과 구개열
9. cryptochidism 잠복고환
10. pyloric stenosis 유문협착증
본문내용
1. atresia(esophageal atresia) 식도폐쇄
1) 정의
식도폐쇄와 기관식도루는 식도가 위까지 도달하기 전에 맹낭으로 끝나버리고 식도와 기관 사이의 비정상적 연결로 누공이 형성된 선천적인 기형이다.
2) 원인
원인은 불명하나, 식도폐쇄 영아는 심장, 위장계, 중추신경계 관련 기형을 나타내기도 하며 천명당 한명 꼴이다.
3) 증상
- 출생 시 비위관이나 흡인카테터를 삽입하기 어려움
- 과도한 구강 분비물, 기침, 질식
- 구토, 복부팽만
- 장내 공기가 없는 쑥 들어간 복부등
4) 진단검사
산모의 양수과다증의 과거력은 태아 진단에 중요한 단서이며, 만일 비위관이 치은을 지나 10~11cm까지 삽입되지 않는다면 식도폐쇄를 의심해볼 수 있으며, 수용성조영제를 통해 기관지경과 식도경 또한 누공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5) 치료적 관리
- 아동을 앙와위로 한 후 침상머리를 높혀 위분비물의 폐 유입을 줄인다(5~10분마다 흡인)
-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 산소, 체온등에 유의한다.
- 주 치료방법은 외과적 교정 수술이다. 처음 시술은 누공의 출혈을 막고 심한 협착의 폐색을 치료하기 위해 식도 양 끝을 연결하는 문합술을 시행한다.
2. meningitis 뇌막염
1) 정의
뇌막염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염증과정이다. 뇌막염은 일차적 질환으로 발병할 수도 있지만, 신경계 수술, 외상, 전신감염, 귀나 부비동의 감염등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2) 원인
나이에 따라 달라지며 신생아 뇌막염을 유발하는 일차적인 병원체는 group B streptococci와 대장균이며 3가지 균(hemophilus influenzae type B, 수막구균, 폐렴성 연쇄상구균등이 많다.
3) 발생빈도
뇌막염은 1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에게 가장 호발하지만, 어느연령에서도 발병이 가능하다. 남아가 여아보다 많이 발병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