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배지 만들기, pH 조성 맞추기
- 최초 등록일
- 2017.12.25
- 최종 저작일
- 2017.03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학실험 A받은 실험노트입니다.
실험이론, 고찰, 방법까지 다 써있습니다.
이외에도 농업, 식물, 생물, 화학 관련 자료 많이 올려놨는데 "hbmj"검색하면 나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 배지: 정의, 종류, 한천배지의 용도, 배지 주요성분
- pH: 정의, 조절방법, pH meter, pH meter 주의사항
3.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실험고찰
본문내용
미생물 배지 만들기 & pH 조성 맞추기
실험 목적
-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인 배지의 조제법과 멸균법을 익힌다.
- 미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영양소를 알아본다.
- 미생물의 배지조성에 필요한 pH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실험 이론
* 배지
- 미생물이나 세포 혹은 이끼 같은 식물 등을 증식시키기 위해서 고안된
액체나 젤 형태의 영양원
- 배지에는 미생물이나 세포 등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영양성분을 충분히 들어 있어야 한다.
- 배양할 세포의 종류,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배지를 사용한다.
- 배지의 종류
1. 배지의 형태에 따라
a. 액체 배지 (Liquid media): 세균의 성장검사, 증식, 대사산물을 목적으로 할 때 사용
흡광도 측정에 용이하고 검출율이 높다.
배지가 유동성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b. 고체 배지 (solid media): 액체 배지에 한천 (agar)이나 젤라틴을 첨가하여 만든다.
1.5 ~ 2%까지의 agar를 넣는다.
처음부터 고체인 배지(감자배지, 밀거울배지)와
고형물을 첨가해 굳힌 배지로 구분한다.
집락을 육안으로 구분 가능, 오염에 대해서도 육안 구분 가능
(집락단위로 개체수 종류 구분, 성장정도 육안 구분 가능)
ㄱ. 평판배지: petri dish에 고체배지를 약 4mm 두께 정도로 굳힌 것
미생물의 분리배양, 집락의 관찰, 감수성 검사 등에 이용
c. 반고체 배지: agar의 성분이 0.5% 이하
ㄱ.고층배지:시험관에 고체를 세운 상태로 굳힌 것
혐기성균의 배양 및 운동성 시험에 이용
ㄴ.사면배지:시험관에 고체배지를 약 45’ 경사가 되도록 굳힌 것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 및 보존,집락의 관찰에 이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