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 실습 (자궁근종 case)
- 최초 등록일
- 2017.12.14
- 최종 저작일
- 2016.08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3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질병과정 (원인, 종류, 증상, 치료 등) +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자궁절제로 인해 자존감이 저하될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부분도 상세히 다루었습니다~
목차
Ⅰ. 질병 연구
1. 개념
2.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7. 경과 및 합병증
Ⅱ. 간호 사정
1. 일반정보 (General Information)
2. 건강력 (Health History)
3.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4. 교육 요구도
5. 낙상위험 사정 (Morse Fall Scale)
6. 통증 사정 (NRS)
7. 정서적 상태
8. 스트레스/대응
9. 진단검사
10. 약물
Ⅲ. 간호 진단
Ⅳ. 간호 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 연구
“ 자궁근종 (Myoma Uteri) ”
1. 개념
- 자궁의 근육조직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느리게 자람
- 생식기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
- 보통 50세 이후에 발생
-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크기 :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것 ~ 10kg 이상에 달하는 것까지 다양
- 둥근 결절 상태로 딱딱하고 탄성 있음
- 안쪽 면은 회백색 내지 황갈색으로 특유의 나선형 모양
- 위치 : 90~95%는 자궁 체부에서, 나머지 5~10%는 자궁 경부에서 발생
2. 종류
부위에 따라 점막하 근종, 근층내 근종, 장막하 근종 3종으로 분류
▶ 체부 근종
- 점막하 근종 : 근종이 내막에 달하여 자궁내강에 돌출 → 출혈 ⇑
- 근층내 근종 : 근종이 근층 내에 발달. 빈도 가장 ⇑
- 장막하 근종 : 근종이 자궁 장막 아래에 발달하여 장막 면에 돌출
▶ 경부 근종
- 방광, 요관, 직장 등 골반 내 기관과 근접 → 근종에 의한 압박 증상
- 근종 적출술, 자궁전적출술 등의 수술이 어려움
3. 원인
- 정확한 발생 원인은 불분명
- 태생기의 장애가 생긴 근육세포 → 성인기에 에스트로겐에 반응 → 비정상적으로 성장
- 악화 요인 : 생리의 반복 (임신 준비단계의 반복)
- 스트레스
- 피하지방 증가 (비만 경향)
- 폐경기나 수유기 등의 낮은 에스트로겐 상태 → 근종의 크기 축소
4. 증상
① 비정상적인 자궁출혈
- 가장 흔한 증상
- 생리량의 증가 (과다월경)
- 생리기간 연장 (과장월경)
- 근종으로 생리 시 박리 되어야 하는 자궁내막의 면적의 증가
- 근종으로 인한 혈관긴장이 높아져 생리 시 혈류증가
- 근종으로 자궁 근육 수축이 고르지 X → 지혈 불충분
- 빈혈 초래 (휘청거림, 현기증, 심계항진 등)
② 복부 팽만감
- 근종이 신생아 머리 크기 이상으로 성장 → 골반 구멍에서 돌출
③ 하복부 통증, 요통
- 골반 신경 및 혈관의 압박
- 자궁 선근증이나 자궁 내막증이 합병하면 통증 강화
참고 자료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Ⅰ 제 7판 / 현문사 /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Chapter 20. 여성생식기 장애. p 885
모성 · 여성건강간호학 Ⅰ / 유은광 외 / 2005 / 현문사 Chapter 12 생식기관의 구조적 장애와 종양. p 360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3 / 와카바야시 마이 외 / 한언 Chapter 12 여성 생식기 질환. p 307
자궁 근종의 임상적 고찰 - 朝鮮大學校 大學院. 백원민. 1981.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 한국가족복지학회. 김영란. 2010.
자궁근종 그림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