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의 사육관리
- 최초 등록일
- 2017.11.24
- 최종 저작일
- 2016.06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꿀벌 사육의 기원 및 특성
(1) 꿀벌 사육의 기원 및 특성
(2) 꿀벌의 명칭
2. 꿀벌의 사육 기술
(1) 양봉장의 선정
(2) 꿀벌의 사회계급
(3) 밀원식물
(4) 양봉기구
(5) 봉군의 관리
본문내용
※ 꿀벌의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벌목 → 꿀벌과 → 꿀벌속 → 인도 최대종(큰꿀벌), 인도 최소종(작은꿀벌), 동양종(재래 꿀벌), 서양종(양봉 꿀벌)
(즉 4종류의 꿀벌이 있다. 절지동물문은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동물의 약 80%를 차지한다. 곤충강의 특징은 다리가 6개이며, 절지동물문의 90%를 차지한다. 동물계는 140만종, 식물계는 50만종, 미생물은 30만종이 있다)
1. 꿀벌 사육의 기원 및 특성
(1) 꿀벌 사육의 기원 및 특성
- 양봉의 역사는 선사시대에 인류가 수렵(사냥) 생활을 하던 기원전 6000년 경 이전까지 거
슬러 올라간다.
※ 양봉 : 벌을 기르는 일
선사시대 : 문헌이 존재하지 않는 시대로 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를 말함
- 고대시대에는 널빤지, 대나무, 나무껍질, 점토 등을 이용해 벌통을 만들었다.
- 고구려 주몽 시대(BC 58~18)에 양봉은 중국에서 들어와 정착하였다. 백제는 양봉 기술을 일본에 전수하였다.
- 17세기 이후에는 지어존(Dzierzon, 1811-1906)과 랑스트로스(Langstroth. 1810-1895)에 의해 벌집을 꺼낼 수 있는 벌통이 고안되어 근대적 양봉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 현재 양봉 산업의 세계 최대 생산, 수출국은 중국이며, 미국,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에서 양봉 산업이 발달하였다.
- 양봉산업은 친환경농업의 한 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으나, 지금은 침체의 길을 걷고 있다.
- 양봉은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하며, 농작물 화분(꽃가루) 매개와 공예품 등에 이용된다.
꿀벌 사육의 특성 상 장점 :
① 꿀벌로부터 꿀과 꽃가루, 왕유(로열젤리) 등을 얻을 수 있다.
※ 로열젤리 : 여왕벌이 될 새끼를 기르기 위해 일벌이 분비한 하얀 자양분의 액체
② 유밀기(꽃에서 꿀이 분비되는 시기)가 짧아 부업으로도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