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삼출증 case study (pleural effusion, 흉수, 늑막삼출)
- 최초 등록일
- 2017.09.10
- 최종 저작일
- 2016.09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35789 (본인인증회원)
52회 판매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pleural effusion case study입니다.
교수님께 잘했다고 칭찬받았고 A+받은 자료입니다.
대상자교육, Clinical Pathway, Clinical Portfolio 포함되어있습니다.
간호진단 4개 잡았습니다.
① 폐기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② 기침과 관련된 급성통증
③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④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사용되는 약물
4) 기타치료 현황
3. 간호진단
4. 대상자교육
5. Clinical Pathway
III. 결론
1. Clinical Portfolio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정의
흉막삼출증은 흉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대개 비농성이며 흉막강 내에 5L 정도의 흉수가 고이기도 한다.
(2) 원인
■ 여출성 흉수(transudates) : 전신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① 정수압이 증가할 때 ex)울혈성 심장기능상실
② 저알부민혈증으로 교질삼투압이 저하될 때 ex)만성간질환, 만성신장질환
■ 삼출성 흉수(exudates) : 흉막 자체의 국소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① 염증반응으로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될 때
② 폐의 악성종양, 폐감염, 폐색전증, 결핵 있을 때 2차적으로 발생
(3) 증상
■ 통증 : '칼로 찌르는 듯’, '결린다' 또는 '담이 들렸다' 등으로 표현 된다. 염증이 있는 흉막 근처의 가슴부위에 통증이 느껴지며, 깊은 숨을 들이쉬거나, 기침을 하거나, 또는 가슴을 움직일 때 의해 통증이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 마른기침 : 원인은 확실하지 않고 흉막의 염증이나 흉수에 의한 폐압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호흡곤란, 창백함, 피로, 체중감소, 허약, 소열
■ 흉막액이 있는 쪽 시진 시 특이하게 팽만되어있고 호흡하는 동안 움직이지 않는다.
■ 350ml 이상 삼출액이 고여 있으면 타진 시 공명음이 없다.
■ 청진 시 호흡음은 매우 감소되어 있거나 없다.
■ 삼출액이 다량 고였을 때는 침범받은 쪽 폐가 허탈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5) 치료
● 증상이 없거나 양이 적은 흉수의 치료 : 대부분 진단 목적 외에는 흉수를 뽑아낼 필요가 없다. 일차적인 원인을 치료하면 흉수는 저절로 해결되는 것이 보통이며 항생제 치료만으로 후유증 없이 잘 치유된다.
● 증상이 있는 흉수의 치료
■ 흉강천자 (thoracentesis)
- 간단하지만 지속적인 배액이 불가능 하고 반복천자에 따른 합병증의 가능성도 높으므로 흉수의 최초 평가에 사용하거나 또는 호흡곤란이 심할 때 응급조치용으로 시행함
참고 자료
성인 간호학(2014), 김금순 외, 수문사
성인간호학실습1 지침서(2015), 장은정, 수문사
네이버 건강백과 http://terms.naver.com
코리아메디 http://www.kormedi.com/
서울아산병원 http://www.asanwelfare.or.kr/
http://blog.naver.com/pjuliet/120112736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