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조 - 메타볼리즘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2017.09.08
- 최종 저작일
- 2016.11
- 103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500원
소개글
A+ 맞은 중간고사 대체 프로젝트입니다.
깊이와 다양서을 다 담으려 노력했습니다.
한 번 살펴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슬라이드 노트에 구어체인 대본이 써있으므로 문어체의 내용을 원하신다면 본문 뒤 마지막 파트인 참고문헌의 단행본과 논문들을 살펴보시면 깊게 연구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메타볼리즘의 사상 및 배경
2. 전통적 측면
3. 기술적 측면
4. 영향 및 한계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게 겐조는 CIAM과 같은 국제행사에 참여하며 서구건축에 대한 관심이 기존에 높았습니다.
그는 일본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일본 전통 건축의 장점을 개선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단게 겐조와 국제 건축가들은 그 당시 활발한 관계를 맺으며 활발한 교류가 있었고, 논의를 바탕으로
메타볼리즘의 개념을 확립하였습니다. 정리하면, 그는 서양의 고차원적 기술을 받아들이면서 일본의 전통적 건축요소를 녹여내어 인본주의적인 건축을 하자고 주장하였습니다.
여기서 잠깐 일본 메타볼리즘의 인적관계도를 보자면, 카와조에와 겐조는 서로 비평을 주고받는 관계였으며 이들은 많은 후배들을 양성해내며 일본의 메타볼리즘 개념을 완성하는데 일조했습니다. 이들은 뒤에서 언급될테지만 개념에 머물러있던 메타볼리즘을 실제 건축으로 실현해내었습니다.
참고 자료
김기수, 일본의 현대건축 : 모더니즘 건축에서 탈모더니즘 건축으로, 이석미디어, 2000.
Zhongjie Lin, Kenzo Tange and the Metabolist Movement : Urban Utopia of Modern Japan, Routledge, 2010.
Rem Koolhaas, Hans Ulrich Obrist, Project Japan : Metabolism talks, Taschen, 2011.
Isozaki Arata, Japan-ness in architecture, MIT press, 2006.
권제중 - 1960-70년대 일본건축에서 나타난 생물학적 유추에 관한 연구
권제중 - 메타볼리즘의 위대한 유산
권제중 - 전통이 일본 메타볼리즘 그룹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권제중 - 키쿠다케 키요노리의 해상도시에 관한 연구
김기수, 이상준 -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건축계의 주요논쟁에 관한 고찰
류재호 - 메타볼리즘과 아키그램건축운동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건축적 적용에 관한 비교연구
류재호 - 일본의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에 있어서 메타몰포시스 개념의 철학적의미에 관한 연구
박혜경, 김정재 - 1980년대 이후 일본 네오모더니즘 건축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영 - 차이의 철학과 탈근대 건축운동에 연관성에 관한 연구
임희재, 이대준 – 메타볼리즘 건축의 사상과 세계관에 대한 고찰 – 타푸리의 아방가르드 비판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해주 - 일본 현대건축의 생성적 공간구현 특성
최영철 - 메타볼리즘의 개념을 적용한 메가스트럭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웨이어-펠란 구조의 적용을 중심으로)
황성주 - 마키 후미히코 건축에 나타난 맥락성의 수용과 구현방식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