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와 보수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7.07.17
- 최종 저작일
- 2016.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판매자con****
3회 판매

소개글
대학 때 배웠던 진보와 보수 정리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주관적 이념성향
대체로 주관적 정치 입장의 비율이 (보수: 중도 : 진보) = (3 : 4 : 3)로 나뉜다. 하지만, 진보의 좌석 수는 70%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같은 진보정당이 진보를 대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보의 대표성을 띄기 위해서 진보적 NGO (참여연대-부패방지법·낙선운동, 여성단체 연합-성평등운동·호주제 폐지, 노동연합, 교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진보 NGO는 뉴라이트(보수적 NGO)의 탄생을 알렸다. 이는 한국정치가 다른 세계정치와 다른 점이다.
2.직업별 이념성향
의사, 변호사 - 보수세력 지지자 / 무직, 농림어업- 보수세력 지지자
사무직 노동자(화이트 칼라) - 진보세력 지지자 / 학생 - 진보적인 성향
가난한 사람들이 왜 새누리당에 투표할까? 계급배반투표
노동자를 우선시하는 순서는 정의당-더민주-국민의당-새누리당이지만, 노동자들은 새누리당에 더 많은 투표
3.연령별 이념성향
20, 30대의 진보성향 vs 60대의 보수성향
하지만, 20대의 전체 이념적인 성향은 보수가 50%를 넘은 적이 없다. 변화에 대한 갈망이 보수를 선택하는 데 한계를 가지게 한다. 따라서 20대의 보수층도 고정적으로 있다.
40, 50대가 casting board를 행사하고 있다.(운동권 세대)
*486세대: 80년대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을 주도했던 세대들 진보 층의 핵심세력을 나타냈지만, 상대적 진보성이 이제는 그렇게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기는 어려움.
4.한국이념의 특수성
단봉형의 구도는 중도가 개별적인 이슈 차원에서는 쌍봉형을 이루고 있다. -> (보수 : 중도 : 진보) = (4 : 2 : 4)
이중적 시민사회, 적과 동지의 이분법
한국 언론은 이념에 충실하여 보도를 하지만, 미국언론은 국익에 충실하여 보도를 한다. 보수를 대표하는 언론인 조선일보와 진보를 대표하는 언론인 한겨레가 매우 예각적이고, 팽팽하게 맞서고 이념갈등이 격렬한 형태로 나타남.
지역갈등 : 호남(진보), 경북(보수). 미국도 마찬가지로 남부(민주당), 북부(공화당)이었지만, 장기정책으로 이를 해결
박정희(영남) vs 김대중(호남)의 경쟁이 지역주의를 발발시켰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