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재난간호학실습 )심정지환자의 간호과정+ 디브리핑
- 최초 등록일
- 2017.06.20
- 최종 저작일
- 2017.0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hm0****
18회 판매

소개글
실제 대화가 있는 생생한 시나리오와 디테일한 간호과정 A+++
목차
Ⅰ. 시나리오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Ⅳ. 디브리핑
본문내용
1. 원인
대부분 하지의 심부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혈류로 운반되어 발생한다. 심부 정맥의 혈전은 갑자기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발생기전은 갑자기 일어설 때와 같은 물리적 압력이 가해졌을 때, valsalava maneuver 시 혈류 속도의 변화로 나타나는 혈전의 진동 때문이다. 심부 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으로 인한 폐색전증의 경우, 대부분은 진단 시 다리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혈전 외에 종양, 공기, 지방, 골수, 양수, 심내막염에서 생긴 판막의 증식물로도 발생한다.
2. 병태생리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괴가 골반(pelvis)이나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한다. 환기(ventilation)가 정상적일지라도 폐동맥이 부분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관류장애가 오므로 환기-관류 불균형을 초래한다. 큰 혈관이 폐쇄되면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폐동맥압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폐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우심실의 작용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우심부전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심박출량은 감소되고 수축기혈압이 떨어지며 쇼크가 발생되고 심한 경우 사망한다. 색전 위에 혈소판이 모이고 이는 serotonin과 thromboxane A₂분비를 증가시켜서 혈관을 수축시킨다.이러한 혈관수축이 폐색전증에서 발생하는 혈행 문제의 주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혈전으로 막히게 되면 그 혈관은 허탈 되어 폐혈관 압력이 증가한다. 폐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우심장에 부하가 증가되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관류 부족으로 저산소혈증과 산독증으로 심폐계가 허탈된다. 광범위한 폐혈관 수축과 폐고혈압은 환기와 관류를 방해한다. 그 결과 산소화 되지 않은 혈액이 동맥순환으로 들어가 저산소혈증을 초래한다. 폐는 폐동맥, 기관지동맥, 기도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기관지동맥장애와 기도장애가 동반되지 않는 한 폐경색(pulmonary infarction)은 거의 초래되지 않지만, 심폐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30% 정도에서 폐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조경숙 외 9명 (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이향련 외 8명 (2008).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박정숙 외(2009) 성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