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목차를 보면 아시겠지만 굉장히 퀄리티 높으면서도 저렴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서사무가
Ⅲ. 바리공주
(1) 줄거리 소개
(2) 전승양상
(3) 사상적 배경
(4) 구조와 의미
Ⅳ.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본 발표에서는 서사무가의 <바리공주>에 대해 조사하며, 서사무가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서 탐구한다. 우선 무가와 서사무가의 정의와 개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난 뒤, 서사무가 중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발표할 것이다. 이후 <바리공주>의 줄거리 소개와 전승양상, 사상적 배경, 구조와 의미를 알아 볼 것이다.
Ⅱ. 서사무가
무가란 무에 의하여 무속적 의례에서 가영되는 구비물로 그중 서사무가는 완전한 설화의 구조를 갖춘 이야기로 되어 있는 무가를 말한다. 서사무가는 일정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 있을 것, 그 인물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사건의 서술일 것 등의 요건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검의 말>은 사건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개성적 인물의 이야기가 아니며 <황제풀이>는 집을 짓는 모습이나 농사를 짓는 장면 등의 서사적 요소가 있으나 역시 주인공의 개성적 활동이 아니므로 서사무가라 할 수 없다.
서사무가의 기능과 서사적 구조는 별개로 존재한다. 서사무가의 기능은 무의에서 신을 초청하는 청배무가로서 나타나고, 무의의 대상신에 따라 서사무가도 선정된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신에 대한 서사무가는 하나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성조신에 대한 서사무가 <성주풀이>는 동래지방과 서울지방의 두 곳의 자료가 채록되었는데 그 기능은 가신인 성조신의 유래가이며 <성주굿>에서 청배무가로서 의의를 갖는 점은 동일하나 서사적 내용은 전혀 별개의 것이다. 반면 내용은 같으면서도 기능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제주도의 <초공본풀이>와 중부지방의 <제석본풀이>는 서사의 내용은 같으나 서사로서의 기능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서사무가는 같은 서사유형이라도 전승지역에 따라 차이가 적지 않기에 지역에 따른 특징을 주목해서 읽어야 한다. 이때 유형이라고 보는 기준은 전체적인 이야기 줄거리가 같고 인물의 성격과 활동이 같으면 동일 유형으로 본다.
참고 자료
김진영·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2』, 민속원, 1997.
서대석·박경신 역주, 『서사무가 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장덕순 외 3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강다영, 「바리공주 무가에 나타나는 다종교적 맥락」, 이화여자 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강진옥,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변이양상과 여성적 경험의 재현 –동해안지역 김복순 구연본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권, 2004.
정연정, 「서사무가와 소설의 구조적 상관관계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5, 2010.
홍태한, 「서울 진오기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 27, 2007.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形成과 展開」, 구비문학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호, 2007.
홍태한, 김석출, 「구송 〈바리공주〉 연구」, 한국무속학, 4,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