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렌스키와 르보의 잔여적 모델과 제도적모델을 비교하고 박근혜정부의 사회복지는 어떠한가?
- 최초 등록일
- 2017.06.14
- 최종 저작일
- 2017.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repor****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정성을 다해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이 레포트가 구매하시는 모든 분들께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2. 인간의 욕구, 인권
3. 본문 방향
Ⅱ. 본론
1. 사회복지정책의 기능
2. 위렌스키와 르보의 잔여적 모델과 제도적 모델의 설명과 정책
3. 박근혜 정부의 사회복지, 잔여적(보충적) 모형에 가깝다.
4. 본인의 생각, 제도적 모형의 복지가 필요하다.
Ⅲ. 결론(현대복지국가에 적합한 모형은 제도적 모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문에서는 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회복지, 인간의 욕구와 인권의 문제가 중요시 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과 관련하여 위렌스키와 르보의 잔여적 모델과 제도적 모델에 대해서 설명하고 박근혜정부의 사회복지는 어떠한지에 대해서 본인의 생각을 논하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사회복지정책의 기능
1) 긍정적인 기능
우리 사회에서 우리는 사회복지의 혜택을 많이 받고 있다.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수요자들에게는 사회복지 서비스가 하나의 희망이 되고 있다.
사회복지정책은 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복지가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기본적인 삶을 살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하나의 희망이 되고 있다.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사회복지 정책이 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정책의 기능은 앞에서 살펴보고 있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 이 밖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회복지정책으로 인하여 빈곤을 해결할 수도 있고 기본적인 인간의 삶을 살아갈 수도 있다.
참고 자료
김미혜 외, 사회복지 정책분석론, 동인출판사, 2002
김경우 외, 사회복지정책론, 창지사, 2008
박용순,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002
백선희, ‘아이 낳기 좋은 세상 운동 본부’ 의 출범과 정부의 저출산 대책, 20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