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 만세전 작품 분석, 감상, 시험문제
*수*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어교육과 전공 수업을 들으며 작성한 염상섭의 만세전 분석 레포트입니다.작가나 작품에 대한 꼼꼼한 분석과 개인적 감상, 만세전의 내용을 토대로 출제한 주관식 문제들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을 분석할 때에 "어떠하다" 라는 분석 내용의 근거가 되는 본문의 내용을 발췌해서 함께 수록하였으므로 작품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아주아주아주 꼼꼼하고 섬세하고 보기 좋게 정리 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작가소개1. 연보
2. 작품세계
3. 대표작
Ⅱ. 작품 줄거리
Ⅲ. 작품 분석
1. 인물
1) 나(이인화)
2) 김천 형님
3) 정자(시즈꼬)
4) 아내
5) 을라
6) 아버지
7) 병화
8) 갓장수
9) 김의관
2. 사건
3. 시점
4. 서술방식
Ⅳ. 개인적 감상
Ⅴ. 참고문헌
Ⅵ. 수시시험 문제
본문내용
염상섭은 현실을 냉정하게 묘사하는 사실주의 문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1921년 첫 작품인 <표본실의 청개구리>에 이어 <암야>(1922), <제야>(1922) 등의 작품에서 조국의 암담한 현실 앞에 무력감, 좌절감, 허무의식에 사로잡힌 인물들을 그렸다. 이 작품들은 절망적인 현실을 자연주의적으로 묘사했다고 평가받는다. 자연주의는 인간의 삶의 문제를 이상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치밀하게 묘사할 것을 주장한 문예 사조다. 염상섭은 이러한 자연주의 문예 사조를 도입하여 근대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했다.염상섭이 자연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점차 사실주의 문학의 대가로 평가받게 된 것은 바로 <만세전>(1924)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횡포를 일삼는 일본인과 비인도적인 식민 통치의 실상을 신랄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낡은 관습에 얽매여 굴종하기에 여념 없는 조선 민족의 각성과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이인화의 의식 구조를 통해 당시의 민족적 현실을 바라보는 지식인들의 나약하고 무기력한 모습도 보여준다.
작가의 또 다른 대표작인 <삼대>는 1930년대 조선의 현실을 그려 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서울의 보수적인 중산 계급 집안을 배경으로 할아버지, 아버지, 손자로 이어지는 삼대의 심리적 갈등과 가치관의 차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들 가족사에는 개화기, 한일 합방, 식민지 통치 등 조선의 근대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식민지배라는 현실에 굴종적으로 적응하는 삶의 전형인 할아버지 조의관과 현실을 비판하기는커녕 자신의 안위만을 추구하는 위선적 지식인인 아버지 조상훈 사이에서 일본에 유학 중인 손자 조덕기는 자기 세대의 소명에 대해 고민한다. 그리고 그의 친구 김병화는 사회주의 사상을 실천에 옮김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려 한다. 이렇듯 <삼대>는 삼대에 걸친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사회상을 총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해방 이후 염상섭이 발표한 단편들은 해방된 조선 사회의 경제적 곤란과 정치적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패와 부정을 저지르는 사람들과 그로 인해 고통을 겪는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염상섭 (2012). 김경원. 「만세전」. 서울. (주)사피엔스21.김봉수 (2007). 염상섭 소설의 현실인식 : 『표본실의 청개구리』와 『만세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정 (2002). 염상섭의 「만세전」 연구.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민경 (2007). 염상섭 소설의 여성 인물 연구 : 『만세전』,「해바라기」,『삼대』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지나 (2003). 「만세전」의 식민지적 근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종주 (2007). 서사적 추론을 중심으로 한 소설 플롯 지도 연구 : <만세전>과 <운수 좋은 날>을 중심으로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광호 (2012). 염상섭 소설의 시선 주체와 문학사적 의미 : 소설 <만세전>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제50호 (2012. 8), pp.355-381
임정희 (2005). 염상섭의 「만세전」, 『삼대』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병호 (1991). 염상섭 소설 연구 : 식민지 시대의 갈등 양상 변모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황국명 (2015). 한국 근대소설과 진화론의 수용 : 염상섭의「만세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0집 (2015. 3) pp.561-58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염상섭 만세전에서 나타나는 시선의 권력 관계 3페이지
김수영의 삶과 시 분석 23페이지
김수영 시 연구 12페이지
김수영의 생애와 시 연구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