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혈성심부전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17.01.28
- 최종 저작일
- 2017.01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assac******* (본인인증회원)
26회 판매

목차
I. 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임상증상
4)진단
5)치료
6)간호중재
7)경과,합병증
8)예방법
II. 간호과정(case study)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2) 간호과정
III.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상증상 :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은 숨이 차는 것(호흡곤란)이다.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과도하게 숨이 차고 이것이 지속된다면 한번쯤 심부전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물론 이것은 다른 질병(빈혈, 폐나 늑막 질환, 신부전 등)이 원인일 수도 있다.
호흡곤란은 주로 심장에 혈액이 정체(울혈)되면서 심실의 충만 압력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폐 혈관에 혈액이 정체되어 생기고 이로 인해 기침이 발생할 수 있다.
호흡곤란은 정도에 따라 운동 시 호흡곤란, 누웠을 때 호흡곤란,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등으로 진행한다.
심장에서 혈액을 제대로 짜내지 못하므로 피로감과 운동 능력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우측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정체되면서 부종, 간 비대, 복수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할 경우 소변량 감소 및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부종은 주로 낮은 부위(예: 발목이나 종아리 등)에 나타나며 심할 경우 전신 부종이 될 수 있다. 또한 심장이 커지면서 여러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간의 심부전에서는 여러 원인에 의해 식욕 부진 및 이로 인한 악액질(cachexia, 만성적 영양불량 상태)이 나타날 수 있고, 노령의 심부전에서는 혼돈, 불안, 우울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진단 : 전해질검사, 방사선검사, 기타 검사
1) 전해질 검사 : 심부전 합병증이나 약물치료 부작용으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소듐, 포타슘, 마그네슘, 칼슘, 염소 같은 혈청 전해질을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부족한 관류 때문에 신기능이 손상되면 BUN, 혈청 creatinine은 상승하고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감소한다. 소변검사에서 단백뇨와 고비중을 확인한다.
신부전의 우너인이 빈혈로 인해 발생했는지는 혈색소와 헤마토크릿으로 확인한다. 체액이 과다할 경우 혈액 희석으로 인해 헤마토크릿이 낮아질 수 있다.
BNP (B-type natriuretic peptide)
급성 호흡곤란을 동반한 심부전을 진단하는 새 검사방법이다. BNP는 신경호르몬 반응의 일종으로, 좌심실부전이나 우심실부전 때문에 심박출량이 감소할 때 나타난다.
참고 자료
이향련 (2007),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신경림 (2010).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차영남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