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7.01.27
- 최종 저작일
- 2017.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assac******* (본인인증회원)
21회 판매

목차
Ⅰ.서론
1. 문헌고찰
Ⅱ.본론
1. CASE STUDY
2. 간호진단 및 과정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1960년대에 현재와 같은 원리의 양압환기에 대한 경험이 쌓이면서 급성으로 일어나는 양측 폐 손상으로 촉발되는 특정한 형태의 호흡부전의 형태를 인식하게 되었다. 1967년 애시보프라는 의사가 호흡 곤란 및 산소 공급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그리고 가슴 방사선 사진상 보이는 ‘양폐야 침윤’의 세 가지를 보이는 12명의 환자군에 대하여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당시는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명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모든 연령에서 일어나므로 현재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ARDS는 60가지 이상의 원인이 알려져 있는데 여러 가지 자료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ARDS가 어떠한 질환인지를 파악하고 대상자를 이해하고 간호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하게 되었다.
<중 략>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하면 ARDS로 정의한다.
1) 급성으로 시작됨
2) 가슴 방사선 사진에서 양폐야 침윤이 보임.
3) 가슴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양폐야 침윤은 심장 기능이 병적으로 저하되어 나타난 것이 아님(정확히는 ‘좌심방의 압력 증가가 없음’. 보통 좌심방의 압력은 심장 기능이 병적으로 저하되었을 때 올라간다. 진찰 소견으로 판단하기도 하고, 때로는 심도자라는 검사를 시행해 폐모세혈관쐐기압이 18mmHg 이하임을 증명하기도 한다.)
4) 고농도의 산소를 흡입해도 동맥혈의 산소 함량이 올라가지 않음(구체적으로 동맥혈 산소 분압(PaO2)을 흡입하는 공기의 산소의 분율(FiO2)로 나눈 값이 200mmHg 이하. 이 비율이 200~300이면 ‘급성 폐 손상’이라 부른다.)
<중 략>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은 초기 며칠간은 심부전(심장 기능의 저하)으로 인한 폐부종과 유사한 증상 및 엑스레이(X-ray) 소견을 보인다. 따라서 임상적인 상황과 검사들을 통해 심부전에 의한 것인지,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인지를 판단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상) : 현문사, 제5판, 전시자 외 9명
기본간호학Ⅰ : 수문사, 개정판, 송경애 외 10명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 현문사, 제2판, 김금자외 1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