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NSTEMI)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17.01.25
- 최종 저작일
- 2017.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skag****
21회 판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심근경색의 분류
5) 진단검사
6) 증상
7) 치료 및 간호
8) 합병증/예후
9) 예방방법
10) 식이요법
2. 환자사정
3. 진단적 검사
4. 투약
5. 간호진단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세포의 괴사는 심장리듬의 장애나 부정맥을 초래하며, 이는 경색 후 첫 몇 시간 내에 흔히 나타난다. 심근경색증은 대부분 좌심실의 전후 벽과 중격부위에 잘 발생된다.
2) 원인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 부르는 3가닥의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일생 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 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이 같은 상황을 잘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⓵ 고령
⓶ 흡연
⓷ 고혈압 : 혈압 ≥ 140/90mmHg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⓸ 당뇨병
⓹ 가족력 :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⓺ 그 외 비만, 운동부족 등
3) 병태생리
국소빈혈로 인한 심근의 손상은 몇 시간에 걸쳐 진행되면서 완전히 괴사되고 경색된다. 심장에 혈류가 감소되면 무산소 대사기전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ATP가 소모되고 젖산이 생성된다. 산성 환경은 심근 전도계의 장애를 일으켜 부정맥을 유발하고 수축력을 감소시킨다.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http://www.kimsonline.co.kr/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차영남, 장효순, 한효실 외 11명,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