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출애굽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유월절 예식과 출애굽
- 최초 등록일
- 2016.12.20
- 최종 저작일
- 2016.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yuki0******* (본인인증회원)
5회 판매

소개글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출애굽기 12장 개요
2. 유월절(逾越節)규례의 제정(12:1-14)
3. 무교절(無酵節)규례의 제정(12:15-20)
4. 마지막 재앙의 대비책(12:21-28)
5. 열 번째 장자(長子) 재앙(12:29-36)
6. 출애굽 하는 이스라엘(12:37-42)
7. 절기 준수에 대한 명령(12:43-51)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월절 규례의 의미
애굽의 압제하에서 비참하게 노예 생활을 해야 했던 이스라엘의 역사적 해방과 구원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유월절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영적 교훈을 준다. 첫째, 피로 이룬 구원 사건이란 점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보혈 사건을 연상시킨다. 즉 여기서의 피는 세상의 모든 죄악을 깨끗이 도말할 예수 그리스도 곧 어린양의 피를 의미한다(히 9:14). 둘째,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어린 양의 고기로써 구원을 얻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가 구원을 얻게 된 것은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아끼지 않으시고 우리를 위한 희생 제물로 내주셨기 때문이다(히 10:10). 셋째, 이스라엘을 낡은 관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동시에 죄악의 요소로 상징되는 누룩을 제거함으로써 새롭게 변화된 인간상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넷째, 쓴 나물과 무교병은 애굽 땅에서의 고초와 그곳에서부터 황급히 빠져 나온 것을 상징하니 곧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은 고통스런 죄에서부터 신속히 빠져 나와야 함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다섯째, 항상 신을 신고 지팡이를 준비하는 행위는 그리스도의 부름이 있을 때 지체 없이 응답할 태세를 완비하고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유월절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깊은 의미는 인간을 향한 구원의 거룩한 섭리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즉 유월절은 그리스도 예수의 구속 사역을 예표하는 사건이란 점에서 과거 이스라엘에게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영적 의미를 지닌다.
· 히브리 역법(暦法) 에서의 첫달
히브리인들은 하나님께서 새로 제정해 주신 종교력 이외에 일상생활에서 오래 전부터 지켜 오던 민간력이 있었다. 이 민간력은 유목민인 히브리인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즉 민간력의 첫 달은 이른 비가 내린 후 곡식을 경작하기 시작하는 달이고, 마지막 달은 경작물 중 가장 늦은 소출을 맺는 포도의 추수를 마치는 달이었다.
참고 자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자원부 저, 출애굽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5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출애굽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0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