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 영양간호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16.12.09
- 최종 저작일
- 2014.05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wnswl****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목차
1. 필수 영양소
2. 에너지 균형
3. 영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생애주기에 따른 영양 요구량의 변화
5. 영양 장애
6. 사정
7. 진단
8. 계획
9. 중재
10. 평가
본문내용
1. 물
- 신체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영양소이다.
- 에너지를 내지는 않지만 몸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신체의 60%이상)
- 대개 인체 수분의 삼분의 이는 새포내액에 존재하고, 나머지가 세포외액에 존재한다.
- 물은 모든 화학반응에 필요하기 때문에 음식물보다 더욱 생명에 중요하지만 저장되지는 않는다.
- 물은 소화, 흡수, 순환과 배설시에 많은 용질을 용해하는 용매로써 작용한다.
- 수분은 식사에서 10~98%까지 충원된다.
2. 탄수화물 Carbohydrates
- 탄소(C), 수소(H), 산소(O)로 구성된다.
- 단순 탄수화물(당), 복합 탄수화물(전분, 섬유소) 가 있다.
(1) 유형
① 당 Sugar
- 탄수화물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수용성이며 식물과 동물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가 있다.
- 과일,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 유당은 포도당과 갈락토오스의 조합으로 동물성 우유에서 발견된다.
② 전분 Starches
-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달지 않은 형태의 탄수화물이다.
- 다당류이다.
- 곡류, 콩류, 감자류와 같은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③ 섬유질 Fiber
- 식물로부터 추출한 복합 탄수화물로 음식의 부피를 형성한다.
- 인간에서 소화되지 않으나, 포만감을 주고 소화기계가 적절히 기능하고 배설물을 배출하도록 돕는다.
- 곡류, 밀기울 등읠 껍리과 야채나 과일의 껍질, 씨 및 과육 등에 있다.
(2) 소화
- 중요한 효소는 타이알린(타액 아밀라아제), 췌장 아밀라아제, 말타아제, 수크라아제, 락타아제가 있다.
- 최종 소화 산물은 단당류이며, 일부 단순 당류는 이미 단당류여서 소화가 필요 없다.
- 일반적으로 모든 단당류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3) 대사
- 신체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다.
-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된 후 포도당의 일부는 혈액 내에서 순환하면서 혈당치를 유지하고 즉지 사용한 에너지원을 제공하며 나머지 에너지원은 사용되거나 저장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