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간호학/ 뇌졸증 CASE A+받은자료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6.08.10
- 최종 저작일
- 2016.04
- 3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4. 간호과정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의료원 노인병동, 21병동에서 실습을 하면서 많은 질환들을 보게되었다,
21병동에 있는 환자들중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으로 병명을 갖은 환자들이고, 이 환자 대부분은 의식이 없거나 뇌손상으로 인하여 활동이 제한, 의사소통 제한이 되있는 환자들이었다.
이러한 환자들은 자기가 어딘가 문제가 있어도 의사소통, 활동이 제한되어 있으니 이로 인해 다른 문제들이 발생 할수 있기에 간호와 관리가 필요하여 의사소통, 활동이 제한된 환자의 케이스를 잡게 되었다.
그에 따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의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치료방법과 간호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 환자에 대하여 간호과정을 세워 개별적 간호를 제공하려고 한다.
Ⅱ. 문헌고찰
**뇌경색?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손상받은 혈관의 위치나 범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장애를 초래
-뇌졸중은 갑자기 발병하는 응급질환이므로 신경계 결손은 물론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을
위해 즉각적 치료 필요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됨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
시작
-뇌조직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함.
1. 병태생리
1) 뇌의 혈류 감소 → 수분 내에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
(1)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 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2와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제거함
(2) 뇌는 자동조절 기능이 있어 뇌의 혈류를 분당 1,000cc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
(3) 뇌동맥은 혈압과 CO2분압의 변화에 따라 확장하거나 수축하기도 함
2) 뇌의 한 동맥 손상 → 뇌조직의 허혈 → 뇌에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
→ 허혈된 부위의 신경원과 신경교 세포, 조직을 경색․괴사
참고 자료
김근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ⅱ수문사 pp 1266~1286
전시자 외 (2010)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p. 497~505
전시자 외(2010).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p. 489 ~ 497
송경애 외(2013).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P. 417~ 425.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drug_info/basedrug/show_detail.asp?idx=25345
성미혜 외. 간호과정. 정문각.
아산병원 뇌경색 식이 검색 http://www.amc.seoul.kr/a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