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부전 문헌 고찰 및 case ( 성인 간호학 A+ )
- 최초 등록일
- 2016.07.21
- 최종 저작일
- 2016.04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piep****
102회 판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신부전(Renal failure)
(3) 급성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2. 간호과정
(1) 간호 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계도
5) 간호력
(2) 진단 검사
(3) 약물치료현황
(4) 우선순위
(5)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 구조
신장의 단면을 보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깥쪽은 피질이고, 그 안쪽은 수 질, 그리고 수질 안쪽이 신우이다. 신장의 피질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암적갈 색으로 보이며 이곳에는 사구체와 보먼주머니로 구성된 말피기소체가 있고 둥글고 잔 알 갱이 모양으로 보인다. 담홍색을 띠고 있는 수질은 세뇨관과 이들이 합쳐 놓은 집합관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집합관의 끝이 신우에 열려 있다. 그리고 신우는 수뇨관으로 이어져 있다.
2) 위치
• 한 쌍의 후복막 장기로 흉추 11번 ~ 요추 3번 사이에 위치한 강낭콩 모양의 장기.
• 콩팥의 길이는 약 10~14cm, 폭 5~6cm, 두께 2.5~3cm
• 우신은 간 바로 아래 , 좌신은 횡격막 아래 비장 근처에 위치.
( 간의 위치 때문에 오른쪽 신장이 왼쪽 신장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함 )
3) 기능
신장은 노폐물과 불필요하게 많은 수분, 그리고 무기염류를 오줌으로 만들어 내보냄으로써 혈액 내의 이온 농도와 pH, 그리고 혈압을 조절한다. 또한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서 소장에서 칼슘이 흡수되도록 도와주며 여러 가지 호르몬의 합성에도 관여한다.
(2) 신부전(Renal failure)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상태 즉, 신기능부전이라고도 한다. 신장에서 일차적인 여과를 담당하는 사구체의 사구체여과속도(glomerular filtration rate)가 떨어진다. 혈액 속 노폐물의 농도가 높아지고 수분의 배출이 일어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합병증 및 고혈압이 발생한다. 급성 신부전일 경우, 대개 급작스럽게 발병하여 고칼륨혈증을 나타내지만, 만성 신부전시 혈청의 칼륨 수치가 정상이거나 낮다.
(3) 급성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1) 정의
급성신부전은 어떤 원인에 의해 갑자기 발생한 신기능의 감소로 정의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 김금순 외 / 수문사 / 2012년
병태생리학 / 홍해숙 외 / fornurse / 2014년
임상실무지침Ⅱ 간호진단과 계획/정운찬 (2006)/서울대학교출판부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2006) / 김강미자, 김금자 외 3명 저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