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서평][처음만나는문화인류학]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을 읽고
- 최초 등록일
- 2016.07.01
- 최종 저작일
- 2016.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판매자지식공유 (본인인증회원)
11회 판매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목차
1.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감상문
2. 문화의 중요성
3. 문화상대주의를 기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4. 인간은 어떻게 진화하고 발전해왔는가?
5. 여성성과 남성성
6. 결혼과 가족의 형성
7. 우리의 뿌리를 찾아서
8. 경제에 대한 문화적 해석
9. 현대적 소비의 특징
10. 정치에 대한 문화적 해석
11. 지도자의 유형
12. 문화인류학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본문내용
□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감상문
문화는 흔히 ‘하나의 인간 집단이 공유하는 가치나 신념’ 또는 ‘삶의 디자인’이라 정의되지만,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오히려 사회 구성원들 간에 ‘공유된 무관심’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나의 문화 속에서 성장한다는 것은 그 문화의 기본적인 가치나 여러 특질들을 너무나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되는 것, 즉 의문을 품지도 않고 질문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특정 문화에서 태어나 성장하는 가운데, 문화화 과정을 경험하며 이를 통해 특정한 유형의 정보에는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 또 다른 유형의 정보는 차단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렇게 지각의 패턴이 확립됨에 따라 특정한 공간지각이 차단되기도 하고 발전되기도 한다.
실제로 이러한 것은 자문화중심주의의 형태로 나타나게 종종 나타나게 된다. 자문화중심주의란 자신의 문화에 우월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다른 문화 사람에게 강요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중 략>
□ 문화의 중요성
인간은 특정 문화에서 태어나 성장하는 가운데 문화화 과정에서 특정한 유형의 정보에는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 또 다른 유형의 정보는 차단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렇게 지각의 패턴이 확립됨에 따라 특정한 공간지각이 차단되기도 하고 발전되기도 한다. 즉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배운 대로 본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문화화 과정을 통해 확립된 지각의 패턴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기에 서로 다른 문화화 과정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시각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시각차가 크게 문제시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문화화 과정을 경험한 사람들이 실제 현실세계에서 만나고 소통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이제 인류는 국경의 의미가 희미해진 세계화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의 시대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화 과정을 경험한 이들 간의 소통의 기회가 늘어가고 있으며, 서로 다름을 인정할 줄 아는 것이 하나의 능력으로서 대두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한국문화인류학회 저, 일조각, 200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