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지역사회간호학 - 지역사회간호사인터뷰(보건교사, 복지시설간호사) 자세하게 인터뷰내용이 담겨져있습니다. 질문도 좋아요. A+받았어요
- 최초 등록일
- 2016.06.24
- 최종 저작일
- 2016.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녹차라떼 (본인인증회원)
53회 판매

목차
Ⅰ. 인터뷰1
1. 인터뷰 대상
1) 인적사항
2) 인터뷰 일시 및 장소
3) 기타사항
2. 인터뷰 내용
Ⅱ. 인터뷰2
1. 인터뷰 대상
1) 인적사항
2) 인터뷰일시 및 장소
3) 기타사항
2. 인터뷰 내용
Ⅲ. 느낀점
본문내용
1) Q. 주 대상자의 범위는 누구인가요?
A. 흔히 사람들은 보건교사는 해당학교의 학생들의 건강을 케어한다고 생각하는데, 이 아이들뿐만 아니라 학교 교직원들과 아이들의 학부형도 포함이 된단다. 크게 보면 아이들의 가족 혹은 교직원들의 가족도 포함되지.
* 나의 생각 : 지역사회 공부 내용 중, 지역사회 간호사업의 단위는 개인, 가족 및 집단과 조직, 지역사회가 들어간다고 배웠을 때는 아무런 생각 없이 받아 들였는데 이렇게 단순히 학생들만이 대상자라고 생각했던 보건교사의 업무가 학생 뿐만 아니라 크게 그들의 가족과 교직원들까지 해당하는 것을 보고, 지역사회 간호는 작은 것일지라 하더라도 그 지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깨달았다.
2) Q. 주로 하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직접간호를 수행하시는 비율이 높나요?
A. 생각보다 굉장히 많은 일을 해. 단순히 아이들이 어디가 아프다 라고 찾아오는 경우에는 단순하게는 그에 맞는 약을 주거나 직접간호를 실시하지. 하지만 직접간호는 일부일 뿐이야. 크게 나눠보자면, 먼저, 교육차시가 바뀌여서 현재 17차시로 7시간이 의무로써 5~6학년들에게 보건수업을 실시하지. 성교육과 응급처지 및 질병예방이 그 내용이란다. 또 1~4학년들에게는 행동특성검사라는 검사를 실시하는데, 정신건강을 명목으로 하여 학부형들에게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고 결과에 따라 문제가 있는 아이들과는 상담을 실시해. 그렇게 해도 해결이 힘들다고 생각이 될 때는 지역의 정신건강센터에 의뢰를 해서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연결을 해준단다. 특히 요즘에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여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한단다. 다음에는, 여기 이 학교 같은 경우에는 임대아파트라거나, 열약한 환경의 아이들이 많아서 경우에 따라서 그 아이들에게 지역아동센터에 연결을 해서 같이 일을 하며 아이들이 밥을 먹을 수 있고, 방과 후에도 보호와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