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텀즈(Incoterms) 역사
- 최초 등록일
- 2016.06.19
- 최종 저작일
- 2015.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kju****
1회 판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무역은 서로 다른 국가 간의 물품과 재화 및 서비스의 이동이라 할 수 있다. 격지간의 매매계약인 만큼 상당히 번거롭고 정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각 나라간의 관습, 문화,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해석에 있어서 상당히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정형거래조건이 사용되어졌다. 국제상업회의소(ICC)에서 정형거래조건들을 모아서 국가 혹은 지역 간 각기다른 상관습 및 실정법을 지정하였는데, 이는 곧 “정형거래조건의 해석에 관한 규칙”이고 Incoterms이다.
1920년 ICC가 창립된 후 최초로 착수한 사업이 정형거래조건의 해석에 관한 통일작업이었다. 그 당시에는 각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무역상의 용어 혹은 약어가 해석이나 적용이 매우 다양하여 무역업자들 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ICC는 1923년 Incoterms의 초판을 발행하였다. 그 이후에도 Incoterms는 Incoterms 1936, Incoterms 1953, Montreal Rule 1967 및 supplement 1976 보안, Incoterms 1980, Incoterms 1990, Incoterms 2000, Incoterms 2010 까지 수정을 거치며 총 7차 개정이 있었다.
특히 1970년대에 들어 컨테이너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Incoterms 1980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에 들어 컨테이너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육, 해, 공을 통한 소위 “Door to Door”의 일관운송체계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운송의 등장은 지금까지의 해상운송중심의 상관습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즉, 컨테이너를 이용한 거래에 있어서 수출입업자는 컨테이너화물의 거래를 위하여 사용되는 무역거래조건에 관해서는 국제적인 규칙이 없으므로 매도인과 매수인의 권리, 의무에 대하여 1953년 Incoterms의 FOB, C&F, CIF조건 및 매수인의 지정장소에서의 인도 등 4가지 무역조건에 합의할 뿐 ......<중 략>
참고 자료
이석래(2011), 「Incoterms 2010의 주요 내용 및 실무적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 국제무역학과 학위논문 석사, pp. 8~12
황일탁(2012), 「Incoterms 2010의 주요 변화와 시사점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과 학위논문 석사, pp. 13~18, PP. 44~45.
류정혁(2012), 「Incoterms 2010의 실무적용상 유의점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학위논문 석사, pp.5~11.
강천, 이신규(2013), 「Incoterms 2010의 주요 개정내용과 적용상의 유의점」, 배재대학교 대학원 : 국제통상학과 학위논문 석사, pp.5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