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안과 용어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6.05.21
- 최종 저작일
- 2009.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skssk******* (본인인증회원)
6회 판매

목차
Ⅰ. 이비인후과계의 구조와 기능
1. 귀의 구조와 기능
2. 코의 구조와 기능
3. 인두의 구조와 기능
4. 후두의 구조와 기능
Ⅱ. 안과계의 구조와기능
1. 눈의 구조와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이비인후과계의 구조와 기능
1. 귀의 구조와 기능
: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다.
① 외이 (겉귀)
: 귓바퀴는 음파를 모으고 외이도(귓구멍)는 음파의 통로기능을 한다. 고막(귀청)은 외 이와 중이의 경계에 위치에 있으며 음파에 의해 진동된다.
② 중이 (가운데귀)
: 중이에는 청소골과 유스타키오관이 있는데 청소골은 세 개의 작은 뼈로 이루어져 있으 며 망치뼈 → 모루뼈 → 등자뼈 순으로 있다.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하 는역할을 한다. 유스타키오관은 중이와 목구멍을 연결하는 관으로서 중이와 외부의 압 력을 같게 조절한다.
③ 내이 (속귀)
: 내이에는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이 있으며 청각이 성립된다.
달팽이관은 전정관, 달팽이세관, 고실계로 되어 있으며 전정계와 고실계는 림프로 차 있고 달팽이관의 끝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달팽이세관에는 청세포와 청신경이 분포 하는 코르티 기관이 있어서 음파를 수용한다.
전정 기관은 위치감각으로 통낭과 소낭이라고 부르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감각 세포층 위에 이석(청사)이라는 석회질의 작은 알갱이가 있다. 몸이 기울면 청사가 중 력방향으로 기울어 감각 세포의 털을 구부러지게 하여 청세포를 흥분시키며 이 흥분이 소뇌로 전달되어 몸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느끼게 한다.
반고리관은 회전 감각으로 전정 기관에 연결된 3개의 반원형 관으로서 운동 방향이나 속력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반고리관 속에는 섬모를 가진 감각 세포가 다발로 들어 있고 림프액이 있다. 또한 갑자기 운동 방향이나 속력이 변할 경우 림프의 관성에 따 라 감각모를 구부러지게 하며 감각 세포를 흥분시킨다. 반고리관은 3개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어 몸이 어느 쪽으로 회전해도 그 방향을 알 수 있다.
청각은 음파 → 고막 → 청소골 → 달팽이관(전정계 → 고실계 → 기저막→ 청세포) → 청신경 → 청각 중추(대뇌) → 청각 순으로 성립된다.
참고 자료
최정신 외 (2004) 성인 내 외과 간호학Ⅲ 현문사 PP. 2~14.
최정신 외 (2004) 성인 내 외과 간호학Ⅳ 현문사 PP.466~567
이성호 외 (1999) 인체해부학 현문사 PP. 31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