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포늪의 가치와 실태 및 보존 필요성
- 최초 등록일
- 2016.05.15
- 최종 저작일
- 2015.08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pw****
10회 판매
목차
1. 우포늪 소개
2. 우포늪의 생성과정
3. 우포늪만의 특징
4. 우포늪의 생태계
5. 우포늪의 주요 오염 원인
6. 우포늪의 손실
7. 복원 노력
8. 우포늪의 가치
본문내용
1. 우포늪 소개
우포늪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 늪으로 경상남도 창녕군 주매리와 이방면 안리,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에 걸쳐있는 70만평의 광활한 습지이다.
우포늪은 국내 최대규모로서 온갖 풀, 나무, 곤충, 물고기, 새 그리고 인간을 품에 안은 자애로운 곳, 원시적 저층 늪을 그대로 간직한 마지막 자연 늪으로 1997년 7월 26일 생태계보전지역 중 생태계특별보호구역(환경부고시 1997-66호)으로 지정되어 국제적으로도 1998년 3월 2일 람사협약(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 보존습지로 지정되었다. 1998년 8월 9일에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람사 : "물새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보전에 관한 국제협약(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람사협약은 지난 71년 이란의 람사에서 채택된 습지에 관한 협약으로 ‘자연 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에 관해 맺어진 최초의 국제적인 정부간 협약이다.
참고 자료
http://www.upo.or.kr/frame01.html (우포늪 사이버 생태공원/소개)
http://www.woopoman.co.kr/(푸른 우포 사람들)
우포ㆍ목포늪 생태계 보전 방향, 1997 (창녕군, 경남개발연구원) 울산들꽃학습원 정우규 박사
우포. 목포늪 생태계 보전 방향 - 창녕군 1997.11 5)
http://woopoi.com(우포 생태 학습원)
습지학원론(한국의 늪), 2000, 박수영, 경남발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