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지역개발전략
- 최초 등록일
- 2016.03.23
- 최종 저작일
- 2014.05
- 23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판매자yuhan**** (본인인증회원)
11회 판매
목차
Ⅰ.지역문제와 지역개발의 목표
1.지역개발의 목표
2.지역문제의 유형
Ⅱ.지역개발이론의 전개
1.전통적 지역개발론의 태동기
2.전통적 지역발전론: 성장거점이론
3.대안적 지역개발이론
Ⅲ.새로운 지역발전이론: 지역혁신체제론과 산업 클러스터론
1.이론적 배경
가.지역혁신체제론
나.산업 클러스터론
Ⅳ.지역개발전략
1.성장거점전략
2.대안적 개발전략
3.최신 지역개발전략: 지역혁신 전략과 산업 클러스터 전략
가.지역혁신 전략
나.산업 클러스터 전략
Ⅴ.결론
본문내용
Ⅰ.지역문제와 지역개발의 목표
지역개발 혹은 지역계획은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하는 노력에서 출발한다.
지역문제의 유형은?
첫째는 국토 공간내 지역간 불균등한 발전에서 오는 문제.
지역간 개발의 격차는 국토 공간내 경제적으로 먼저 성장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뜻함.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권과 그 나머지 지역, 영남지역과 호남지역간 존재하는 성장의 격차가 예가 될 수 있음.
<중 략>
Ⅱ.지역개발이론의 전개
2.전통적 지역발전론: 성장거점이론
2차 세계대전 후 경제부흥기를 타고 세계적으로 확산된 성장거점이론은 국제적으로 지배적인 지역개발이론 및 전략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성장거점이론은 퍼로우가 제안한 “Growth Pole"이란 개념에서 출발.
퍼로우는 경제성장은 모든 곳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지리공간상의 일정한 "極(극)Pole"을 중심을 발생.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해서 주변지역으로 파급된다고 주장.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