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의 특징
- 최초 등록일
- 2016.03.14
- 최종 저작일
- 2014.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rab*******
14회 판매
목차
I. 서 론
Ⅱ. 본 론
1. 기능적인 가족
2. 역기능적인 가족
Ⅲ. 결 론
본문내용
I. 서 론
최근 한국사회는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와 빠른 노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동’, ‘이혼율의 급증으로 인한 가족해체’,‘젊은층의 결혼 기피로 인한 탈가족화’ 등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개인과 사회에 기반으로 여겨지던 가족의 의미와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심각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결국 가정의 기능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느냐에 따라 가족을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가족이 수행하는 기능이 충분하고 활발하게 기족안팎에서 일어날 때 이런 가족을 ‘순기능적인 가족’이라고 하며, 이와 반대로 가족 안팎에서 가족의 기능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본래적 가족의 기능과 반대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족을 ‘역기능적인 가정’이라고 한다. 가족기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개인이 다른 외부 환경으로부터 기대할 수 없는 기본적인 생활과 욕구에 대한 해결이 가족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특히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영역만큼은 가족만이 담당할 수 있는 고유영역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유영주 (1993). 한국가족의 기능 연구. 서울:교문사.
김남영 (1988). 가족기능과 가족구성원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수 (1973). 가족관계학. 서울:진명문화사.
안병철, 서동인 옮김 (1993). 가족사회학. 서울:을유문화사.
안호용, 김홍주, 배선희 (1997). 가족은 없다. 서울:일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