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FTA로 인한 기업과 소비자 영향)
- 최초 등록일
- 2016.02.19
- 최종 저작일
- 2015.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pjh****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FTA의 개념과 효과
2. FTA로 인해 받게 될 영향: 한중 FTA를 중심으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4년 11월 10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한중 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되었다고 공식 선언했으며, 2015년 2월 양국 정부가 한중 FTA 협정문에 가서명 함으로써, 한중 양국은 상품 및 서비스 시장 개방과 품목별 원산지기준(PSR) 등 모든 핵심 쟁점에 대해 최종 합의를 도출했다.
한국은 이번 중국과의 FTA 협상 타결로 미국ㆍ유럽연합(EU)에 이어 3대 경제권과 FTA를 맺은 나라가 됐다. 세계 GDP의 12.3%를 차지하는 중국을 우리 경제영토에 포함시킴으로써 전자ㆍ자동차ㆍ철강ㆍ석유화학 등 주력 제조업의 성장판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됐다.
중국은 미국 주도의 배타적 경제블록 TPP(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으로서는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에게서 상품무역은 물론, 폐쇄적인 중국 서비스시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통 큰 합의를 보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당시 양국의 교역규모는 63억 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수교 20년이 지난 2012년 약 2,206억 달러, 2015년 3,00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으로, 수교 이래 양국의 교역규모는 약 40배 가까이 증가했다.
참고 자료
기획재정부(2014). 한중 FTA의 경제적 효과.
삼성경제연구소(2011). 한중 FTA의 의의와 주요 쟁점. 연구보고서.
양평섭(2014). 대외 경제정책: 한중 경제 관계. 대외경제정책연구소.
조단(2015). 한중 자유무역 협정 체결이 양국 농업에 미친 영향과 대응 방안.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나금융연구소(2014).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주요 산업 영향.
한국무역협회(2014). 한중 간 무역투자 동향과 한중 FTA 기대효과
산업통상자원부: http://www.ft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