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문] 찰리채플린 모던타임즈 영화 해석 : 근대의 시공간 개념 및 산업사회 생산방식(포디즘)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6.01.19
- 최종 저작일
- 2016.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00원

판매자haha**** (본인인증회원)
12회 판매
소개글
핵심이 잘 나와있을 겁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품 해석
2) 근대의 시공간성 표현
3) 근대의 생산성 표현 : 포디즘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유성영화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무성영화를 고집하던 사람들 중 하나인 찰리채플린이었다. 감독, 출연, 각본, 작곡 모두 찰리채플린이 맡았다. 찰리채플린은 '방랑자 찰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했다. 그는 원래 유럽 사람으로 대부분의 작품이 걸작으로 꼽힌다. 영화 찰리채플린이 보여주는 것은 마임시대의 연기방식이다. 이는 매우 특징적이고 발성영화에 적응할 수 없었다. 말년에 가서 그는 유성영화를 시도했으나 무성영화만큼 크게 되지 못했다. 그가 표현한 무성영화는 대사 없이 행동으로만 나타내기 때문에 동작이 크고 과장되었다. 하지만 모던타임즈는 완전한 무성영화라고 볼 수는 없다. 화면 내 소리가 있기 때문이다. 발성의 기술을 일부분 사용한 무성영화로 볼 수 있으며, 종합적으로는 ‘무성영화 style로 만든 발성영화’였다.
그는 말년에 유럽에서 미국으로와 1950년대, 2차 대전 이후 냉전시대를 겪었다. 당시 간첩에 대한 두려움, 공포 등을 바탕으로 한 스파이 영화가 근간을 이루었으며, 메카시 사건과 관련해서도 50~80년대 냉전적 사고방식에 의존해 세계 정치적 상황 보여주었다.
참고 자료
사진적 비유를 통한 현대성 비판 : 모던타임즈 전 작품론 2007년 기타예술체육 | 홍승현 | 홍익대학교
산업화, 기계화, 자동화, <모던 타임스>…… 그리고 찰리 채플린 2014년 산업공학 | 송재철 | 대한산업보건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