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프 시대

Sierra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5.12.27
최종 저작일
2015.11
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목차

Ⅰ. 서론

Ⅱ. 정통 칼리프 시대 (632 ~ 661)
1. 1대 칼리프 (아부 바르크, 재위 632 ~ 634)
2. 2대 칼리프 (우마르, 재위 634 ~ 644)
3. 3대 칼리프 (우스만, 재위 644 ~ 656)
4. 4대 칼리프 (알리, 재위 656 ~ 661)
5. 수니파와 시아파

Ⅲ. 우마이야 왕조 (661 ~ 751)

Ⅳ. 아바스 왕조 (750 ~ 1258)
1. 건설과 전성기
2. 하룬 사후의 내란
3. 제국의 분열

Ⅴ. 셀주크 투르크의 등장과 칼리프의 격하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일반적으로 학생 신분에서 역사를 배울 때 세계사를 서양사와 동양사로 나누어서 공부한다. 그래서 특히 중동은 서양과 동양의 사이에서 서양과 동양을 잇는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배울 때 그 순위가 밀려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서양사의 경우에서는 고대의 페르시아, 중세의 십자군 전쟁 등에서, 동양사의 경우에서도 탈라스 전투 등에서 중동의 영향에 대하여 알 수 있다. 특히 민족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동은 동양 민족과 서양 민족이 꼭 지나가는 통로이기도 하다. 그만큼 중동의 역사가 중요한데, 오랜 중동의 역사 중에서도 우리는 예언자 무하마드의 후계자로 일컬어지는 칼리프의 시대를 이해함으로써 이슬람 세계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레포트에서는 정통 칼리프 시대부터 칼리프의 의미가 변화하는 아바스 왕조 후기까지를 살펴본다.

Ⅱ. 정통 칼리프 시대 (632 ~ 661)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책봉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자 사후 이슬람의 패권을 두고 아부 바르크, 우마르, 우스만, 알리가 칼리프의 자리에 올랐다. 이들 네 명의 시대를 역사는 정통 칼리프 시대라고 명한다. 무함마드의 죽음은 성인의 죽음이자 한편으로는 움마를 이끌었던 왕의 죽음과 같았다. 무함마드의 몸이 미처 식지도 않았을 때 메디나 출신의 무슬림들이 그들만의 지도자를 뽑기 위한 모의를 했다. 이것은 움마 공동체의 해체와 분열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누구든 무함마드의 자리를 대신해야 했다.

1. 1대 칼리프 (아부 바르크, 재위 632 ~ 634)
첫 번째 칼리프가 된 아부 바르크는 무함마드의 친구이자 무함마드의 장인이었다. 혼란한 움마 공동체를 다시 결속하기 위해 경험이 많고 덕망이 있는 아부 바르크가 칼리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동의했다. 이렇게 아부 바르크가 칼리프가 되었음에도 아라비아 반도의 부족들이 움마 공동체에서 분리 독립을 시도했다.

참고 자료

고마츠 히사오 외 씀, 이평래 옮김, 『중앙 유라시아의 역사』, 소나무, 2005.
프랜시스 로빈슨 외 씀, 손주영 외 옮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최성권, 『중동의 재조명』, 한울아카데미, 2012.
이희수, 『터키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Sierra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이슬람교의 분파 4페이지
    정통칼리프시대 3. 옴미야드조 시대 Ⅲ. 결론 Ⅰ. ... 정통칼리프시대 무함마드가 자신의 후계자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없이 죽자 그의 ... 옴미야드조 시대 무아위야(Muawiyah)가 칼리프에 올랐을 때의 정세는
  • 한글파일 무함마드와 이슬람교의 탄생 5페이지
    (탄생과 정통 칼리프시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 ... 칼리프시대를 뒤이은 ‘우마이야(옴미아드) 왕조(661~750)’의 시작이다 ... 그러나 정통 칼리프시대를 비롯하여 그 이후 무슬림의 대제국을 건설했을 때에도
  • 파워포인트파일 이슬람교,이슬람교역사,이슬람교신앙 32페이지
    이슬람의 종국적 승리를 만천하에 선포 정 통 칼리프 시대 (632 년 -661 ... 예언자의 대리인으로 하는 칼리프 제도가 확립 최초의 4 명의 칼리프는 공동체의 ... 콘센서스에 의해 선출되었 기 때문에 ‘정통 칼리프’라고 하는 규범되었다
  • 파워포인트파일 서양사 이슬람세계기원 ppt (종교/역사) 27페이지
    초대 칼리프와 2 대 칼리프 시대 2) 3 대 칼리프와 4 대 칼리프 시대 ... 정통 칼리프 시대 - 초대 칼리프와 2 대 칼리프 시대 칼리프 아라비아 어로는 ... 정통 칼리프 시대 시아파와 순니파 1) 메카시대 2) 메디나 시대 1)
  • 워드파일 카렌 암스트롱, 책 요약 7페이지
    우마르 1세(634~644) 시대에 비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약탈 원정으로 ... 지역은 독립된 상태였다. 10세기는 시아 이슬람 시대라고도 불리는데, 이 ... 이슬람 세계에서 칼리프 대리인 자격을 인정받았다.
  • 한글파일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의 비교 3페이지
    우마이야 왕조의 탄생부터 몰락까지 이슬람 정통 칼리프 시대에 이르러 3대 ... 노력했으나, 이전 이슬람 시대는 세습제가 아닌 선출제였기 때문에 심각한 ... 그러나 715년 왈리드의 동생인 술라이만 빈 압둘 말리크 시대부터 쇠퇴와
  • 한글파일 이슬람 종파 갈등 원인-2매 4페이지
    3대 우스만, 4대 알리가 선출된다. 1대 부터 4대 칼리프가 지배한 시대를 ... 무함마드 교리를 가장 충실하게 따른 시대라는 의미다. ... 수니파는 알리가 칼리프가 되기 위해 3대 칼리프 우스만을 살해했다고 믿었다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칼리프 시대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