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실험]신체 미생물 및 공중 낙하균 관찰
- 최초 등록일
- 2015.12.13
- 최종 저작일
- 2015.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2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신체 미생물 및 공중 낙하균 관찰
실제 우리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접하게 되는 것들에게서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균의 종류를 알고,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해보는 실험레포트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7. 참고 자료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1. 실제 우리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접하게 되는 것들에게서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균의 종류를 알고,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2.1.1. 세균의 크기
세균을 측정하는 단위로는 흔히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한다. 1㎛는 ㎜이고, 1㎚(나노미터)는 ㎚. 1(옹스트롬)은 ㎚, 1pm(피코미터)는 ㎜이다. 예를 들면,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직경은 1㎛ 정도이며 대간균으로서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의 크기는 1~1.3㎛×3~10㎛, 소간균인 영균(Serratia marcescens)은 0.5㎛×0.5~1㎛, 나선균인 매독균(Treponema pallidum)의 크기는 0.2㎛×6~20㎛ 정도이다.
2.1.2. 세균의 형태
세균의 외형은 크게 구균, 간균, 나선균으로 나눌 수 있다.
<중 략>
1. 토의 사항
1.1. 실험 고찰
본 실험은 직접 배지를 만들어 신체 미생물과 공중 낙하균을 배양하고 관찰하는 것이었다. 우리 조는 신체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해 귓속과 동전을 이용했다. 동전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물건 중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신체부위인 손과 잦은 접촉이 있기 때문에 신체 미생물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어 사용했고, 귓속 또한 신체 미생물이 쉽게 발견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귓속과 동전에서 미생물을 채취해 관찰한 것이다. 하루 동안 37°C incubator에서 배양한 결과를 보니 귓속에서 채취한 미생물의 개체 수는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한 양이 관찰되었다. 그에 비해 동전을 이용해 채취한 미생물의 개체 수는 적었다.
실험에서 관찰한 신체 미생물은 황색포도상구균이다.
참고 자료
밀레니엄 미생물학, 김충완 외 7명, 정문각, 2002, p.28~34
환경미생물학 제2판, Raina M.Maier, Ia L.Pepper, Charles P.Gerba(저), 송홍규 외 6명(역), 교보문고, 2010, p.12~13
일반미생물학 (개정판), 김창한 외 7명, 유한문화사, 2000, p.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