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청시대 여성상(열녀전중심)_윤창호
저작시기 2014.04
한컴오피스 (hwp) 4페이지 가격 500원
등록일 2015.10.06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없음본문내용
한말에서 명, 청 시대 여성상에 대해 한 단어로 요약해보자면 ‘억압’ 혹은 ‘맹아’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 여성들을 억압하는 것 중 하나가 <열녀전> 이었지만 반대로 여성이 주목받기 시작한 계기이기도 한 것이 매우 흥미로웠고 더 알아 가보고 싶은 마음에 이번 주제를 ‘열녀전‘ 으로 잡게 되었다. 우리는 과연 어떤 방식으로 열녀전을 이해해야 할지를 주요하게 고려해보았다.우선 이 주제에 대해서 책과 논문들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과 당시를 상상하게 되었다. 과연 실제 여성들은 <열녀전>에 나온 것처럼 행동하였을까? 라는 의문도 가지게 되었다. 그런 의문을 가지게 된 계기는 <열녀전>의 시초는 기원전 1세기 한나라시대의 유향이 쓴 것이고, '훌륭한 어머니', '현명한 아내', '지혜로운 여성', '예와 신의를 지킨 여성', '도리를 실천한 여성', '지식과 논리를 갖춘 여성', '나라와 가문을 망친 여성'등 7가지 여성유형을 다룬 유교사상의 여성 교육서 같은 존재였다.
참고 자료
김장환,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4>, 휴머니스트, 2006정재서,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김지선, [삽화, 정전의 경계를 가로지르다]
신창용, "맹모삼천지교, 시대의 요청에 맞게 창조된 이야기", 연합뉴스, 2013.06.1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6/24/0200000000AKR20130624153100005.HTML?from=search
판매자 정보

younch1124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