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관여도 선정 계기
2. 보고서 목적
Ⅱ. 본론
1. 관여도 개념
2. 관여도 결정요인 및 유형
3. 관여도 측정
4. 고관여 대 저관여 소비자 의사 결정
5. FCB Grid
6. 관여도를 활용한 구체적 마케팅 사례
7. 관여도를 활용한 광고 효과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관여도 선정 계기
현대 사회는 정보 대홍수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쉽게 접하는 정보들 중 광고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비자가 수많은 광고에 쉽게 노출되고 있는 만큼 많은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접하는 광고가 소비자의 뇌리에 깊게 박히길 바란다. 비교적 저관여 제품(초콜릿, 과자, 콜라 등) 광고는 소비자들의 주목을 끌기 어렵기 때문에 광고를 재미있게 만들어 광고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신세대 소비자들은 광고에 대한 관여도가 기성세대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신세대용 광고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는 기업들이 소비자의 관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광고를 하였는가와 소비자의 관여도가 높아질수록 나타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앞서 관여도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강의 시간에 배운 것을 바탕으로 하여 더욱 심도있게 알아보기로 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을 할 때 관여도에 따라 판단하기에 이것을 더 자세하고 면밀하게 알려주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마케팅 사례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여 관여도를 선택하게 되었다.
2. 보고서 목적
소비자의 행동, 즉 태도형성, 의사결정과정, 정보처리과정 등은 소비자가 그 대상물에 대하여 갖는 관여도에 따라 매우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여도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비자행동의 여러 측면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지식을 갖고 관여도 결정요인 및 측정방법, FCB Grid와 관여도에 따른 구체적인 사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효과를 알도록 하는것이 보고서의 목적이다.
Ⅱ.본론
1. 관여도 개념
관여도란 사회적 판단 이론(social judgement theory)의 자아관여에 두고 있으며, 크루그만이 소비자 행동분야로 도입하여 광고효과 연구에 처음으로 사용한 이래, 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광고처리과정에서 동기의 개념을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도로 그리고 능력의 개념을 상품에 대한 (전문)지식으로 개념화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윤보미, 진통제 광고 소구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가 광고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5, pp.21~24
한경희 외 1명, 브랜드 인지도와 관여도가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공학과, 2003, p.524
김성동, 관여도에 따른 모바일 광고의 효과 연구 -고관여 상황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PP. 11~ 16
구글, “관여도 결정요인”, http://m.blog.daum.net/jhlee03/326
구글, “관여도 결정유형”, http://www.cflove.co.kr/board/view.asp?num=2&brdnm=boardlist05&page=2
구글, “로랑과 카프페레의 측정방법”, http://hujubkang.tistory.com/m/post/2
구글, “관여도 마케팅”, http://savine.tistory.com/66
구글, “코카콜라 관여도”, http://creativebox.tistory.com/49
구글, “고관여 저관여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 http://haam1004.tistory.com/92
네이버, “관여도 광고”, http://blog.naver.com/saur1025?Redirect=Log&logNo=120210146979
네이버, “광고 효과”, http://blog.naver.com/freekiwea?Redirect=Log&logNo=110014266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