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질환레포트 구순구개열
- 최초 등록일
- 2015.04.03
- 최종 저작일
- 2014.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병태생리
4.진단검사
5.치료
6.간호
Ⅲ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순열 및 구개열은 두 개 악안면 부위에서 가장 발생율이 높은 선천성 기형으로 전신적으로는 세 번째로 빈번하게 발생되는 질환이다. 태생 6-12주 사이에 내비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 실패로 일어나는 구순구개열은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2001년 백 등의 연구에 의하면 1979년에 출생한 한국 성인 남자에서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의 유병률은 1,000명당 0.65명으로 좌측 파열이 우측 파열보다 2배 정도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구순열 및 구개열 질환은 골조직과 연조직의 결손으로 인한 구조적인 결함과 함께 기능적인 면에서도 발음장애, 저작장애, 연하곤란, 청각장애 등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미적인 면에서도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큰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 략>
구순열과 구순개열은 출생 시 바로 알 수 있다. 이런 질환은 부모에게 심각한 정서적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다. 구개열은 구순열보다 덜 분명해서 철저하게 구강사정을 하지 않은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구개열은 입안을 들여다보는 시진을 통해서 식별하거나, 또는 검사자가 장갑 낀 손가락을 구개에 넣어 직접 촉진허여 식별한다. 경구개와 연구개 파열은 입과 비강사이에 연속적인 개구(opening)를 형성한다. 구개열의 심각성은 수유에 영향을 끼쳐서 영아는 수유에 필요한 구강흡입을 할 수 없다.
<중 략>
수술 전 수유의 어려움은 구순구개열 또는 구개열 영아의 성장장애의 원인이 된다. 다른 증후군과 관련이 없는 단독 구순열, 구개열, 또는 구순구개열은 외과적 교정 후에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체주이 증가하거나 연령에 적합한 키와 체중을 달성한다. 구순열은 적절한 전방입술 밀봉을 달성하기 위한 영아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유방조직은 균열에 적응하기 때문에 단독 구순열영아는 일반적으로 모유수유에 어려움이 없다. 단독 구순열 영아가 인공수유를 하는 경우 플레이 텍스 또는 NUK(교정용) 젖꼭지 등 젖꼭지 기저부가 넓은 젖병을 사용하면 성공적일 수 있다. 빰을 지지하는 것은 수유 중 입술 밀봉 개선에 유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 12명(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p.392-397
황상희(2011), 구순구개열 환자의 성장과 수술에 따른 시기별 교정치료, Keimyung Medical Journal, 제30권 제1호, p.157-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