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유가와 묵가 사이의 갈등의 시작
2. 본론
1) 유가의 철학
2) 묵가의 철학
3) 유가와 묵가의 철학의 차이와 및 근거
4) 현대사회에서의 유가와 묵가
3. 결론
1) 요약 및 나의 생각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유가와 묵가 사이의 갈등의 시작
유가와 묵가는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사상의 두 학문이다. 이 들은 서로 여러 면에서 갈등을 많이 빚었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왜 이 둘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게 되었는지 우선 이 두 사상의 출현 배경부터 각각 살펴보기로 하겠다.우선 유가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듯이 공자로부터 생겨난 사상이다. 당시 중국의 정치적 혼란기인 춘추전국시대 때는 민심도 많이 흔들렸었다. 유가는 춘추시대 말 무렵 생겨난 사상인데, 공자는 당대의 정치적 혼란에 대한 문제를 해결을 도모하기 위해 유가를 발전시켜 나가기 시작했다. 다음으로 묵가는 전국 시대에 묵자로부터 비롯된 사상으로 그 시기는 유가와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골의 평범한 수공업자였던 묵자는 한때 유학은 공부한 사람이었으나 어느 날 번거롭고 어려운 예절과 과도한 장례의식 등이 백성들을 가난하게 만든다고 생각하게 된 이후부터 유학을 버리고 스스로 새로운 학파를 세워 발전 시켰다. 류예, 고예지 역, 헬로우 묵자, 미래사, 2008년, 이것이 바로 묵가이다.그러나 묵가는 유가의 형식적인 면과 불평등한 면을 비판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유가와 묵가 사상이 각각 근본적으로 주장하는 바를 자세히 살펴보고, 유가와 묵가 철학 사이의 차이를 밝혀 왜 묵가는 유가를 비판했는지 알아본 다음, 현대 사회에서 유가와 묵가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까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중 략>
Ⅱ. 본론
1. 유가의 철학
유가는 공자가 세웠지만, 공자와 맹자의 철학을 주 핵심요소로 삼는다. 유가사상의 근본은 인으로, 인은 임금에 대하여는 충이 되고 부모에 대하여는 효, 형제에 대해서는 제가 된다. 유가의 주요 사상은 사서오경에 잘 드러나 있다. 또 다른 사상가로는 순자, 주자, 왕수인 등이 있다. 유가사상은 일상생활을 가족관계와 사회관계에서 고찰하는 실용적인 교의를 창설하였다. 이 유가사상은 인본주의 정신을 기본으로 하며, 천인합일의 사유를 기본으로 한다. 천인합일은 우주와 인간의 원리를 일관된 것으로 보는 것으로 유가사사상의 외재적 근거가 된다.
참고 자료
류예, 고예지 역, 헬로우 묵자, 미래사, 2008년, p8
네이버 지식백과, 유가사상,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최영갑,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한국학술 정보, 2006년 , p73
류예, 고예지 역, 헬로우 묵자, 미래사, 2008년, p105
김철운, 공자와 유가, 서광사, 2005년 , pp217~219
기세춘, 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1995년 , pp35~37
최영갑,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한국학술 정보, 2006년 , p47
기세춘, 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1995년 , pp68~69
김철운, 공자와 유가, 서광사, 2005년 , pp27~28
기세춘, 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1995년 , pp111~11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er1211&logNo=10168575814
http://mtcha.com.ne.kr/world-term/china/term52-mugga.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