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검사
6) 치료
7) 간호
8) 경과·합병증
9) 생활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 계획
3. problem list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적용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연 평균 161,920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다발성골수종은 남녀를 합쳐서 연 평균 853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5%로 21위를 차지하며,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0.4%로 가장 많다. 인구 10만 명 당 조발생률은 1.7건 이고, 남녀의 성비는 1.33:1로 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러한 다발성 골수종은 골수 내 악성 형질세포가 침윤되어 전신적으로 뼈를 파손시키는 신생물 질환으로 형질세포 골수종이라고 한다. 질병이 진단될 당시에는 이미 척추, 골반, 두개골, 늑골, 쇄골, 및 흉골까지 침윤된 상태로, 골격의 파괴가 퍼져있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다. 치료하지 않으면 진단 된지 약 2년 내 사망하게 되는데, 만약 초기에 질병이 진단된다면, 치료를 통해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통해 연구하여 질병의 증상, 변화 상태와 간호에 대해 공부하며, 환자를 관찰함으로써 이번 케이스로 다발성골수종을 정하였다.
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환자는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MM))으로 2010년 12월 23일 삼성서울병원 11 동 암센터 1124병실에서 W/U 및 항암 치료를 받았으며, 이 환자의 질환에 대한 연구를 위해 12월 27일부터 12월 30일 동안 문헌과 EMR을 이용하였고, 환자 관찰을 통해 정보를 얻어 사례연구 하였다.
Ⅱ. 본 론
1. 문헌고찰
1) 정의
다발성 수종은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및 증식되어 나타나는 혈액암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를 골수종세포라고 부르며, 이는 종양을 만들고 뼈를 녹여 통증을 유발하고 잘 부러지게 하며, 골수를 침범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감소시켜 빈혈, 감염, 및 출혈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된다. 골수종세포는 또한 비정상 면역단백인 M단백을 만들어 내는데, 이로 인해 혈액의 농도가 진해져서 혈액과점도증후군을 초래하거나 신장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흑인남자, 남자, 고령(65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에 점차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참고 자료
전시자, 김강미자 외 공저(2009), 제 5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이항련, 최철자 외 공저(2007), 성인간호학Ⅱ 여섯째판, 수문사
대한혈액학회(2006), 혈액학, E*PUBLIC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2010), 제 12차 암환자 간호과정,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2007), 검사 및 시술 전 후 간호, 삼성서울병원
양선희 외 공저(2009), 제 4판 기본간호학 상권,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