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고설화와 삼황오제
- 최초 등록일
- 2014.11.30
- 최종 저작일
- 2014.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머리말
Ⅱ. 원고시대(遠古時代)
1) 반고설화(盤古說話)
2) 여와(女媧)
3) 신예(神羿)와 상아(嫦娥)
Ⅲ. 삼황오제(三皇五帝)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동아시아의 나라에서는 어떤 나라를 가던 그들만의 신화가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단군신화(檀君神話)를 비롯해서 대별소별전(大別小別傳), 일본에서는 창세신화(創世神話)가 있고 중국은 이번 본고에서 다룰 원고시대의 여러 신화이다. 신화나 설화는 대부분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구전설화(口傳說話)가 대부분이다. 비록 지역마다 차이는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야기의 큰 틀은 대부분 변함이 없다. 이렇게 각국마다 건국설화나 신화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그 해답을 지형이나, 환경의 차이 혹은 문화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건국신화는 천지개벽부터 인류의 탄생 및 멸망 재창조 등의 주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연현상에 대한 고대인의 우주관과 원시철학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자연이 어떻게 생성되었고 발전해왔는지는 현대의 무한한 과학의 발전에도 풀 수 없는 연구과제이다. 대부분의 창세신화에는 창조주와 그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의 2가지의 기본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창세신화의 핵심적인 천지기원은 신화 역시 무한한 능력을 가진 창세신이 등장하여 천지만물을 창조하는 과정을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원고시대(遠古時代)를 비롯해 여러 신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와 비슷한 신화는 무엇이 있는지, 그에 해당하는 사료를 찾아보고자하고, 삼황오제(三皇五帝)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이춘식, 2007, 『중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 신서원, p.38
고우영, 2004, 『십팔사략』 「삼황오제에서 서주까지」 애니북스, p.9~40
박한제 외4명, 2007,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출판사
서수원, 2009, 「中國 天地起源神話 중 盤古神話의 硏究」, 『중국어문논역학회, 중국어문논역총간, 제24집 page(s): 25-46』
장춘석, 2011, 「盤古神話의 인도유래에 관한 종합적 고찰」,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논집, 제66호 page(s): 547-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