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자궁내막종, single port 복강경 난소낭종절제술
- 최초 등록일
- 2014.11.13
- 최종 저작일
- 2013.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수술실 자궁내막종 및 single port 복강경 난소낭종절제술에 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술 전 환자 간호사정
Ⅱ. 수술 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
Ⅲ. 문헌고찰
Ⅳ. 수술 과정
Ⅴ. 수술 중 간호기록
Ⅵ. Time out
Ⅶ. 회복실 기록지 / 마취회복 상태 관찰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문헌고찰
1. 진단명 : Endometrioma(자궁내막종)
1) 정의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내막의 선조직(gland)과 기질(stroma)이 자궁이 아닌 다른 부위에 부착하여 증식하면서 일으키는 병변이다. 난소 내에 자궁증이 존재하면 그 부위가 종괴(혹)로 분류될 수 있을 만큼 커진 경우를 자궁내막증(Endometrioma)이라 하는데, 초콜릿 모양으로 검게 낭종이 생겼다고 하여 chocolate cyst라고 한다.
2) 증상
- 심한 월경전 및 월경시 통증
- 성교시나 성교후의 통증
- 불임
- 월경과다증과 불규칙한 월경
- 비정상적인 질 분비
- 배뇨 및 배변시의 통증 등
3) 진단
대다수 자궁내막증 여성은 임상검사에서 정상으로 확인된다. 질, 외음, 경부가 드물게 발생하는 부위이기는 하나 확인해야 하며, 그 외에 자궁천골이나 더글라스낭에서 덩어리가 있는지, 직장-질 격막에서 통증이 있는 부종이 있는지, 편측성의 난소 확대가 있는지 확인한다.
CA-125가 중등도의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복강격검사로 골반강과 복강에 자궁내막증이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이는 시진과 촉진을 해야 하며 복강경 검사에서 복막 표면에 전형적인 출혈병소가 발견되면 조직학적 확인을 하여야 한다.
4) 치료
- 수술 : CO₂ 레이저, 복강경, 개복수술, 난소절제술, 전자궁적출술
- 약물 :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증의 성장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호르몬 치료는 에스트로겐 합성을 억제해서 자궁 외 자궁내막의 위축을 유도하고 자극과 출혈의 주기를 막는 역할을 한다.
2. 수술명 : Single port Accessed-laparoscopic Ovarian cystectomy
(단일통로 복강경 난소낭종절제술)
부속기 종양은 흔한 부인과 수술 적응증 중 하나로, 특히 양성 난소낭종은 대부분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여성에 있어서는 수술 이후 임신력의 보존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되므로, 가능하면 난소 조직을 보존하기 위해 난소낭종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참고 자료
윤혜상(2013), 수술실 환자간호, 청구문화사
이경혜 외(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박광옥 외 공저(2008),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구숙희 외(2002), 수술간호 실습지침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