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식물원*수목원의 기능과 역할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03.06.24
- 최종 저작일
- 2003.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이쪽에 관심있는 분은 저와 계속 자료교류했으면 좋겠어요.
목차
서론
식물원*수목원 현지외 보존시설로서의 역할로서의 문제점대두
본론
문제점 분석 및 대안점 제시 및 수목원의 특정예를 첨가 설명
결론
종합및 전체적 대안점 첨가제시함으로서 결론지음
본문내용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주제를 가진 전문식물원의 탄생을 바란다.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관상가치와 생물학적 희귀가치를 지닌 식물들만을 중심으로한 수목원 이라든가 최근에 추진되고 있는 나비공원이라던가 김치정원(kimchi garden)이라는 아이디어가 관광진흥 공모전에서 입상한 이러한 예들이 그렇다. 지역적 특성과 식물의 특성을 가미한 전문적 식물원·수목원이 되면 오랜 준비와 역사의 바탕 위에 훌륭한 자원 보존 시설과 교육의 현장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품종 육성과 원종의 보호라는 식물원 본연의 기능을 강조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생각한다. 도로변에서 '우리 종자를 지킵시다' 라는 안내판을 기억하고,
버려둔 잡풀들도 소중한 우리 생물자원 이라는 것을 항상 염두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한국 자생식물원 (www.kbotanic.co.kr)
*기청산 식물원 (www.key-chugsan.co.kr)
*여미지 식물원 (www.foa.go.kr.9095/yeomiji)
*전국의식물원,수목원정보 (www.anseo.dankook.ac.kr/~wplants/html/there/botani/botani.htm)
*문화 광관부 한국청소년 개발원 2002특성화 수련거리 생명과학체험활동(발행처 문화관광부 청소년 수련부 청소년 수련과)
*자생식물관련 단체 공동 세미나 자료 (in 2001 세종문화회관 컨벤션센터)
*우리 시대의 정원이야기 cite (꽃과 늑대의 정원 http://flower-wolf.com/)
*광주 2002년주요성과와2003년시정방향 참고 녹색도시환경
(http://www.gjcity.net/0203/0203.hwp)
*부천식물원 건립 방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