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과 영화 <방자전>의 비교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12.23
- 최종 저작일
- 2011.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들어가며
2. <춘향전>의 변이를 통한 등장인물의 캐릭터분석.
3. <춘향전>과 <방자전>에 나타난 사랑과욕망
4. <춘향전>의 패러디 외 <방자전>의 보는 폭넓은 시각
5. 마치며
본문내용
1.들어가며
많은 한국인들은 문학적작품속에서 주인공들의 지고지순한 사랑과 그들 나름대로의 고난과 역경을 헤쳐나가는 이야기들을 좋아한다. 옛 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나라의 많은 문학작품들만해도 주인공들은 어려운 상황에 굴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줄뿐더러 등장인물들의 사랑에는 항상 방해물이 존재하여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통속성 패턴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춘향전>이라고 볼 수 있다. <춘향전>은 한국인의 정서를 가장 깊게 담고 있는 작품들로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비슷한 내용들 때문에 지루할 법도 한 한국문학작품들의 통속성이 지금까지도 드라마나 영화에 활용되고 꾸준한 사랑을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중 략>
또한 <방자전>은 방자의 계급을 초월한 사랑이야기를 통해 신분의 관계는 한 인간을 단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절실히 보여준다. 사람들은 이 영화를 통해 단지 재미만을 추구할 수도 있고, 심각한 지금의 현실세태와 그 당시 조선시대 양반의 저속함을 풍자하는 의미로 생각할 수도 있다.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저 재미만 추구하는 작품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기엔 영화 속 많은 요소들이 기존 서사의 관습에서 탈피하고자 시도한 부분이 많았고, 이를 현대적 측면에서 해석해 볼 때 공감이 될 만한 것들이 많다. 그러므로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작품들을 폭넓게 수용하는 태도를 지니는 것이 두 작품의 차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장혜련(2008), 북한영화<춘향전>과 <사랑 내 사랑> 비교 연구, 『문학과 영상』, 255p
조도현(2011), <춘향전>변이의 영상텍스트적 모색과 전망 – 영화 <방자전>을 중심으로, 『우리말 글51』, 182p, 183p, 196p
http://mlkangho.egloos.com/1050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