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액화·가스화에너지
- 최초 등록일
- 2013.12.05
- 최종 저작일
- 2013.1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개 요
2) 국내외시장동향
3) 기술개발 현황
4) 보급 현황
5) 향후 추진 계획
본문내용
1. 석탄 액화·가스화에너지
1) 개 요
가. 개념
석탄가스화액화기술(gasification and liquefaction)은 저급연료 (석탄, 폐기물, 바이오매스 및 중질잔사유 등)를 산소 및 스팀에 의해 가스화시켜 얻은 합성가스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를 정제하여 전기, 화학원료, 액체연료 및 수소 등의 고급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복합기술로서 가스화기술, 합성가스 정제기술, 합성가스 전환기술로 구분된다.
석탄가스화?액화기술은 원유로부터 추출하는 대부분의 화학물질을 C1 합성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고, 기후변화협약, 환경규제, 자원의 제약에 대응할 수 있는 석유나 천연가스의 고갈에 대비한 에너지원의 안정적인 확보 차원에서 저비용, 저공해, 고효율화의 기술이다. 석탄가스화의 가장 대표적인 활용 방식인 가스화 복합발전 (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저급연료를 고온고압 조건에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 반응을 시켜 합성가스(CO와 H2가 주성분)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친 후 가스터빈으로 1차 발전, 증기터빈으로 2차 발전하는 고효율, 친환경적 복합발전방식이다.
<중 략>
대용량 상업 규모의 IGCC 플랜트 건설 사업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으로부터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개발도상국에 도입되고 또한 확산될 것이므로 IGCC 플랜트 기술 및 건설 분야에서의 시장 확보를 위해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IGCC 기술 연구 개발에서 여러 가지 세부 기술 중에서 국내에서 단시기내에 효율적이고 혁신적으로 확보 가능한 기술을 선취해서 고효율, 저비용 및 신뢰성이 높은 기술에 대한 집중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단기간 내에 연구 개발이 어려운 기술에 대해서는 선진국의 기술을 과감하게 도입하여 국내 개발 기술과 직접 접목하여 대용량, 상용 급 IGCC 플랜트 건설 기술 및 운전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석탄액화는 국외의 상용 석탄가스화발전과 합성석유 생산병행 생산 플랜트 기술 공동 도입하고 국산기술을 개발하여 국산 플랜트 설계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선 기술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