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와 15세기 중세국어 비교
- 최초 등록일
- 2013.11.14
- 최종 저작일
- 2012.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뿌리가 둘 (또는 그 이상)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는 15세기국어와 현대국어에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어적합성어로 구분된다. 통어적 합성어는 뿌리의 결합방식이 통어론적 연결에 맞게 된 것이고, 비통어적 합성어는 통어론적 연결 방식에 어긋난 방식으로 결합된 것이다. 15세기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점은 비통어적합성어에서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비통어적 합성어가 임자씨인 경우와 풀이씨인 경우가 있는데 15세기 국어에서 나타나는 비통어적 합성어는 모두 풀이씨이다.
<중 략>
주체법과 대상법은 한정변형에 의한 임자씨를 한정하는 풀이씨의 매김꼴에 나타나는 오우의 유무에 따라 기본월의 속구조에 있어서 임자씨가 임자말의 기능을 하는지 부림말의 노릇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문법적 방법이다. 주체법과 대상법은 한정변형에 의한 임자씨를 한정하는 풀이씨의 매김꼴에 나타나는 오우의 유무에 따라 기본월의 속구조에서 임자씨가 임자말 노릇을 하는지 부림말 노릇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문법적 방법이다. 주체법과 대상법은 한정변형에 의한 임자씨를 한정하는 풀이씨의 매김꼴에 나타난 오우의 유무에 따라 기본월의 속구조에 있어서 임자씨가 임자말 노릇을 하는지 부림말 노릇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문법적 방법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