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한국 교육사
- 최초 등록일
- 2003.04.27
- 최종 저작일
- 2003.04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제1장 삼국시대의 교육
1. 의의
2. 고구려의 교육
3 백제의 교육
4. 신라의 교육
5. 교육사상가
제2장 고려시대의 교육
1. 성격 - 불교사상이 정신적 지주
2. 과거제도
3. 교육사상가
제3장 고려시대의 교육기관
1. 국자감(관학)
2. 동서학당, 5부학당(관학)
3. 향교(향학)
4. 십이도(十二徒, 사학)
5. 서당
제4장 조선시대의 교육
1. 특징 - 유교중심의 유교주의가 주류
2. 과거제도
3. 실학사상과 교육
4. 교육사상가
5. 교육에 관한 제규제
제5장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제6장 근대의 교육
1. 특징
2. 학교제도의 성립(★)
3. 교육입국조서(★)
4. 교육사상가
제7장 현대의 교육
1. 미 군정기의 교육
2. 정부수립과 교육
3. 6. 25이후의 교육
4. 오늘날의 교육
본문내용
제1장 삼국시대의 교육
1. 의의
(1) 배경 : 삼국시대에 비로소 문자교육과 학교교육 시작
(2) 교육목적
1) 백성을 다스릴 인재 양성(치인교육)
2) 국방을 담당할 무사를 양성(무인교육)
(3) 교육방법
1) 당나라식을 모방한 주입식, 암기식 방법
2) 우리 나라의 고유한 방법(신라의 화랑도 교육)
2. 고구려의 교육
(1) 태학(우리나라 최초의 관학)
1) 소수림왕 2년(서기 372)년에 설립
2) 성격 : 귀족과 특수계급의 자제를 교육시키는 관리양성기관
3) 교육내용 : 5경(시경, 서경, 춘추, 예기, 주역), 3史(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등
4) 우리 나라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아 세워진 최초의 교육기관.
(2) 경당(우리 나라 최초의 사학)(★)
1) 초등에서 대학까지 담당한 최초의 사립교육기관
2) 일반평민과 지방부호들의 미혼자제를 지도대상으로 함.
3) 교육내용 : 경전과 활쏘기
4) 후에 나타난 고려와 서당의 서당의 기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