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장학행정의 발전과제 요약정리
- 최초 등록일
- 2013.11.07
- 최종 저작일
- 2012.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장학의 최근 동향과 우리의 교육현실
Ⅱ. 장학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Ⅲ. 장학행정의 발전방향
Ⅳ. 장학행정의 발전과제
본문내용
Ⅰ. 장학의 최근 동향과 우리의 교육현실
◎ 장학의 최근 동향
① 장학의 강조점이 행정관리중심에서 교육현장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② 장학은 교사의 능력개발에 그 강조점을 두고 있다.
③ 장학은 개별화 경향을 띠고 있다.
④ 장학에서는 전문적 지도성이 강조되고 있다.
⑤ 장학활동에서는 과학성과 예술성이 공존하고 있다.
⑥ 장학에서는 책임을 강조하는 경향에 있다.
◎ 장학행정의 현황
① 장학은 정책 중심의 방침 수행으로 인하여 그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없는 처지에 있다.
② 현실적으로 장학담당자들은 그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행정사무나 잡무처리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기 때문에 장학 본연의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③ 교육현장에 팽배해 있는 장학담당자에 대한 불신풍조와 형식적인 학교방문이나 학교평가에 대한 반발 때문에 장학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Ⅱ. 장학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장학행정의 문제점
1. 제도적인 측면
① 장학행정조직이 관리행정 중심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과거에는 장학행정의 권한이 중앙에 집중되었으나 지금은 그 기능을 지나치게 축소시켰다.
② 장힉직의 역할 그 자체는 전문직인데 비하여 그 조직은 관료제를 지향하는 계선조직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하여 장학행정조직내부에서도 장학직의 사무적 업무수행으로 인하여 전문성을 살리기 어려워 갈등을 느끼고 있으며, 또한 교육위원회 및 교육(구)청의 장학직이 직제상 일반행정직과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상당한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③ 장학지도자 양성을 위한 직전교육과 장학담당자들의 현직연수가 미흡하다.
④ 전문직으로서의 장학직과 연구직의 자격기준이 모호하며, 선발과정이나 전직기준 등 임용체제에 문제점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