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 시화집, 비평서 (이인로, 최자, 이제현) / 파한집, 보한집, 역옹패설
- 최초 등록일
- 2013.11.06
- 최종 저작일
- 2013.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고전수필 중 대표적인 문학비평서, 시화집인,
이인로 의 <파한집>, 최자 의 <보한집>, 이제현 의 <역옹패설>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이인로- <파한집>
(1) <파한집>의 내용
(2) <파한집>의 의의
(3) <파한집>의 한계
(4) 이인로의 문학론
2. 최자 - <보한집>
(1) <보한집>의 내용
(2) <보한집>의 의의
(3) <보한집>의 한계
(4) 최자의 문학론
3. 이제현 -<역옹패설>
(1) <역옹패설>의 내용
(2) <역옹패설>의 의의
(3) <역옹패설>의 한계
본문내용
1. 파한집 -이인로
:우리나라 시화집의 효시. 일정한 형식이 없으나 비평의 면모를 갖추고 있음.
문학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답답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이인로 개인의 내적 욕구와 그동안 축적된 문단 내부의 비평적 역량이라는 외부적 토양을 바탕으로 출현한 것.
⑴ 내용
:제가의 글 가운데서 유명한 시구를 뽑아 수록, 다시 자신이 당시 문인들과 교류하면서 주고받은 시일화, 문담, 기사, 자작 작품 등을 보태어 수록.
우리나라 시인들의 시문이 인명되고 말 것을 염려하여 수집, 파한하기 위해 편찬함.
+ 자신의 시를 다량으로 세재하며 시적 재능 과시.
+ 문학적 재능 가지고서도 제대로 등용되지 못하는 동료의 처지 대변, 역대 임금의 학문에 대한 태도, 인재등용의 중요성 등을 강조.
⇒ 순수한 시화적 요소를 담고자 했다는 표면적 편찬의도와 달리 그 이면에 다른 의도가 존재하고 있었음.
<중 략>
-이제현은 역대 왕의 측근으로서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다, 고려 조정에 발호하던 부원세력(원에 기대었던 세력)의 공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의에 의해 관직에서 물러남.
자신이 처해 있던 현실의 부조리를 깊이 천착하여 문명사적 시각에서 문제점을 해결해보려고 쓰여짐.
- 당대의 창작기풍을 진작시키고, 초기 시화집 출현 이후 문학을 새롭게 정리하려는 것
-역옹패설을 지어 하고 싶은 말을 자유롭게 했는데, 잡담거리를 모아 책을 엮은 것이니 심각하게 생각할 것이 없다 하면서 통념을 깨는 주장을 반발을 사지 않고 펴려고 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