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결혼과 이혼
- 최초 등록일
- 2013.10.17
- 최종 저작일
- 2013.05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hjde****
2회 판매

목차
1. 서론
2. 고려 이전의 혼인
3. 고려시대의 혼인
4. 이혼과 재혼
5. 결론
본문내용
1.서론
혼인은 가족을 형성하는 단계의 첫 시작이다. 혼인은 남녀의 사랑의 결실이며, 집안의 결합이며, 또 혼인과정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문화현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혼인은 당시의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혼인을 통해 그 시대의 사회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충분히 있음직할 일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혼인의 성립과 이혼, 재혼등을 통해 고려사회의 당시 사회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2. 고려 이전의 혼인
2-1 고대의 혼인
인류는 이미 신석기 시대에도 족외혼 등의 나름대로의 혼인규칙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혼인에 대한 문헌적 자료가 나타나는 것은 한참 나중의 일이다. 우리나라의 초기국가의 혼인에 대해서도 우리 측 사료에는 남아 있지 않아, 중국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중 략>
그러나 그 유복자가 다행히 지금 자라나 학문에 뜻을 둘 나이가 되었으니, 이 아이의 아버지가 본래 속해있던 무리에 속하게 하여 그 뒤를 따르게 하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만일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내가 무슨 얼굴로 지하에서 전 남편을 다시 보겠습니까”라고 하며, 드디어 그 뜻대로 용단을 내렸다
-이승장묘지명
이승장의 어머니는 재혼한 남편이 집이 가난하다며 의자를 공부시키려 하지 않고 자신의 아들과 동업하도록 하였다는 데서 관료층이 아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재혼 l 아이가 부담스러워 아이를 버리기도 했던 것 같다. 아이를 버리지 않더라도 아이는 여자의 재혼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였을 것이다.
재혼한 여성에 대해서도 법제적으로는 어느 정도 차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혜안. 권순형 저
「고려의 여성과 문화」 신서원. 김창현 저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 연구실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