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문헌][정보학]문헌정보학의 필요성, 문헌정보학의 목표, 문헌정보학의 요구능력, 문헌정보학의 현장성, 문헌정보학의 문화기술적 방법, 향후 문헌정보학의 제고 방안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7.20
- 최종 저작일
- 2013.07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개요
Ⅱ. 문헌정보학의 필요성
Ⅲ. 문헌정보학의 목표
Ⅳ. 문헌정보학의 요구능력
1. 정보자원(Information Resources)
2.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
3. 정보접근(Information Access)
4. 정보시스템과 기술(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5. 리서치(Research)
6. 정보정책(Information Policy)
Ⅴ. 문헌정보학의 현장성
1. 실천 현장의 피폐성
2. 문헌정보학계의 대응
3. 현장성 문제의 근본적 원인
Ⅵ. 문헌정보학의 문화기술적 방법
Ⅶ. 향후 문헌정보학의 제고 방안
1. 문서자료
2. 향토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21세기를 목전에 두고 있는 지금 현재의 세상은 인류가 지금까지 이룩한 것과 맞먹을 정도의 변화가 최근 수십 년 동안에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세기말적 시점에서 21세기 이후의 미래에 대해 예견하고 있는 많은 미래서들이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서 인류에게 장밋빛 미래를 혹은 암울한 미래를 제시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인류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 일상적인 환경도 많이 변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 것인지 감히 상상하기가 주저된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환경들이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인간의 본질이다. 물론 인간도 나름대로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진화해가는 것은 사실이겠지만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환경이 변한다고 해서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본질이 지금과 다른 것으로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 략>
향토자료실은 출판된 책자자료 중심의 일반자료실과는 달리 해당 지방의 사람과 단체와 조직 및 물리적 환경에 관한 원자료 및 출판된 책자자료들이 모두 수집대상이다. 일반자료실의 자료가 주로 이용 중심인데 비해 향토자료실의 자료는 이용은 물론 보존할 가치가 있는 귀중한 자료도 포함된다. 따라서 향토자료실에는 보존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서가 배치되어야 한다. 수집되는 자료의 유형도 책자자료뿐 아니라 문서, 일기, 일지, 회계장부, 전단, 팜플렛, 전화번호부, 신문, 잡지, 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필사자료와 인쇄자료들이 포함된다.
만약 도서관에서 그 지방의 역사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보존하지 않는다면 누가 하겠는가? 혹시 개인이나 단체가 향토자료를 수집하더라도 지속되지 않고 중단될 가능성이 많고, 결국에 이 자료들은 사라져 버리게 될 것이다. 도서관에서 향토자료를 수집, 보존하여야 할 가장 으뜸가는 이유는 도서관은 영원하고 항구적인 기관이기 때문이다. 향토자료는 지역사회에 대한 자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므로 사서가 이 자료들을 무시하고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완수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도서관계는 지방화 시대에 걸맞은 서비스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공공도서관에 향토자료실을 설치하거나 활성화해야 하고, 학계는 이에 대한 이론적인 지원을 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도서관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도 향토자료실을 설치하고, 또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곽동철,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10
김성진 외 1명, 문헌정보학 연구논문의 이론체계 현황분석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
남영준,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국회도서관, 2008
노지현,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학계의 진단과 방향 모색,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10
오세훈,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
오경묵 외 1명,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의 발전 동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